지방의 향리층은 신진관인으로 중앙에 진출하여 14세기 중엽에는 정치적·사회적 기반을 확대시키고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여 새로운 정권담당자로서의 사대부계급을 형성하는 태반이 되었다. 신진사대부가 고려 후기의 신관인층으로서 조선 건국의 주동세력이 되었다는 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무신집권기의 능문능리의 관료군과 성리학을 수용하여 불교를 배척하고 고려말 개혁의 주체가 된 신진사대부를 동질적인 존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있고, 이 점에서 무신집권하의 능문능리의 신관료와 고려말 개혁세력으로서의 신진사대부와는 구별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신진관인(新進官人)으로 성장하는 부류 중 대다수를 차지하였던 지방의 향리계층은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신진사대부에 대한 인식에는 상당한 견해의 차이가 있다. 무신정권이 확립되는 최씨집권기에는 무신에 대한 견제와 아울러 문신을 다시 등용하기 시작하였고, 한편으로는 한미한 가문출신의 신진관료가 ......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권문세족의 성립과 그 성격 및 신진사대부의 대두와 성격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한국중세사교육-권문세족과_신진사대부
1)권문세족의 성립과 그 성격
(1)세족층의 형성과 그 특징
(2)고려 후기 권력구조와 세족
(3)고려 후기 사회모순의 심화와 세족층의 동향
(4)고려 후기 세족의 역사적 성격
2)신진사대부의 대두와 그 성격
(1)신진사대부의 대두 배경
(2)사대부의 성격과 용어에 대한 논의
(3)사대부의 성격과 시기구분
3)개혁정치의 추진과 신진사대부의 성장
(1)개혁정치의 추진
(2) 개혁정치의 성격
(3) 신진사대부의 성장2)신진사대부의 대두와 그 성격
(1)신진사대부의 대두 배경
무신란 이후 고려의 지배세력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무신들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몰락의 길을 걷게 된 전기(前期)의 문벌귀족들 중 일부는 그 위세를 잃고 무인세력 밑에서 가문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고, 한편으로는 한미한 가문출신의 신진관료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무신정권이 확립되는 최씨집권기에는 무신에 대한 견제와 아울러 문신을 다시 등용하기 시작하였고, ‘능문능리(能文能吏)’의 관리가 요구되었다. 문관은 행정실무인 이무(吏務)의 경력을 쌓아야하고 그 바탕위에서 정무(政務)를 담당해 갈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문과 리는 대립적인 것이 아니고 상보적인 관계라 하겠다.
무신란 이후 문인 지식층의 동향을 보면, 무신정권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현 정권 밖에서 자기의 주체성을 지키면서 청고(淸高)한 일생을 산 사람들과 무신정권에 참여하여 현실에서의 영달(榮達)을 구한 사람들로 대별된다. 신진관인(新進官人)으로 성장하는 부류 중 대다수를 차지하였던 지방의 향리계층은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고려 후기의 과거합격자수는 하삼도출신자가 많았는데, 이는 연해지 및 저지개간의 성행과 함께 농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삼도지역 지방세력의 경제력의 성장과도 연계시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고려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에 관심을 갖고 13세기 말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특히 원에 왕래하며 선진문물을 수입하는 사대부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이와 함께 14세기에는 과거의 과목에서 사서가 더욱 중시되었다. 즉, 지방의 향리층은 신진관인으로 중앙에 진출하여 14세기 중엽에는 정치적·사회적 기반을 확대시키고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여 새로운 정권담당자로서의 사대부계급을 형성하는 태반이 되었다.
(2)사대부의 성격과 용어에 대한 논의
일련의 연구성과들로 인해 고려 후기 지배세력으로서 ‘권문세족’과 이에 대하여 새로운 세력으로 대두되는 ‘신흥사대부’가 설정되었다. 신진사대부에 대한 인식에는 상당한 견해의 차이가 있다. 신진사대부가 고려 후기의 신관인층으로서 조선 건국의 주동세력이 되었다는 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무신집권기의 능문능리의 관료군과 성리학을 수용하여 불교를 배척하고 고려말 개혁의 주체가 된 신진사대부를 동질적인 존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있고, 이 점에서 무신집권하의 능문능리의 신관료와 고려말 개혁세력으로서의 신진사대부와는 구별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고려 후기의 과거합격자수는 하삼도출신자가 많았는데, 이는 연해지 및 저지개간의 성행과 함께 농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삼도지역 지방세력의 경제력의 성장과도 연계시켜 생각할 수 있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한편 고려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에 관심을 갖고 13세기 말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특히 원에 왕래하며 선진문물을 수입하는 사대부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한국중세사교육-권문세족과_신진사대부 1)권문세족의 성립과 그 성격 (1)세족층의 형성과 그 특징 (2)고려 후기 권력구조와 세족 (3)고려 후기 사회모순의 심화와 세족층의 동향 (4)고려 후기 세족의 역사적 성격 2)신진사대부의 대두와 그 성격 (1)신진사대부의 대두 배경 (2)사대부의 성격과 용어에 대한 논의 (3)사대부의 성격과 시기구분 3)개혁정치의 추진과 신진사대부의 성장 (1)개혁정치의 추진 (2) 개혁정치의 성격 (3) 신진사대부의 성장2)신진사대부의 대두와 그 성격 (1)신진사대부의 대두 배경 무신란 이후 고려의 지배세력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무신들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몰락의 길을 걷게 된 전기(前期)의 문벌귀족들 중 일부는 그 위세를 잃고 무인세력 밑에서 가문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고, 한편으로는 한미한 가문출신의 신진관료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무신란 이후 문인 지식층의 동향을 보면, 무신정권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현 정권 밖에서 자기의 주체성을 지키면서 청고(淸高)한 일생을 산 사람들과 무신정권에 참여하여 현실에서의 영달(榮達)을 구한 사람들로 대별된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신진사대부가 고려 후기의 신관인층으로서 조선 건국의 주동세력이 되었다는 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무신집권기의 능문능리의 관료군과 성리학을 수용하여 불교를 배척하고 고려말 개혁의 주체가 된 신진사대부를 동질적인 존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있고, 이 점에서 무신집권하의 능문능리의 신관료와 고려말 개혁세력으로서의 신진사대부와는 구별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즉, 지방의 향리층은 신진관인으로 중앙에 진출하여 14세기 중엽에는 정치적·사회적 기반을 확대시키고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여 새로운 정권담당자로서의 사대부계급을 형성하는 태반이 되었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무신정권이 확립되는 최씨집권기에는 무신에 대한 견제와 아울러 문신을 다시 등용하기 시작하였고, ‘능문능리(能文能吏)’의 관리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14세기에는 과거의 과목에서 사서가 더욱 중시되었다. 신진사대부에 대한 인식에는 상당한 견해의 차이가 있 manuaal 자기소개서 시험족보 사업계획 atkins 실습일지 solution mcgrawhill 솔루션 리포트 방송통신 시험자료 oxtoby report stewart 레포트 원서 서식 이력서 sigmapress halliday 실험결과 전문자료 논문 학업계획 표.. 문관은 행정실무인 이무(吏務)의 경력을 쌓아야하고 그 바탕위에서 정무(政務)를 담당해 갈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문과 리는 대립적인 것이 아니고 상보적인 관계라 하겠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 . (2)사대부의 성격과 용어에 대한 논의 일련의 연구성과들로 인해 고려 후기 지배세력으로서 ‘권문세족’과 이에 대하여 새로운 세력으로 대두되는 ‘신흥사대부’가 설정되었다. 신진관인(新進官人)으로 성장하는 부류 중 대다수를 차지하였던 지방의 향리계층은 중앙으로 진출하였다.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권문세족의 성립과 그 성격 및 신진사대부의 대두와 성격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고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자료 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