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들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효과적. 호흡기의 점모 : 점액을 위로 밀어올려 호흡기 밖으로 밀어냄. 호흡기의 점액 : 이곳을 통과하는 먼지,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함. 2. 주변 세포보호. 대식세포 : 단핵구에서 유래된 커다란 세포. 소화계 위산 : 음식과 함께 들어온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죽임. T-림프구(T-lymphocyte, 감염세포 죽음→주변세포로 인터페론 분산→주변 세포들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 단백질 생산) ? 보체 : 혈액 내 혈장에서 비활성 상태로 순. , 혈액 백혈구 : 중성 백혈구와 단핵구 모두 감염된 조직에서 박테리아, T-cell) T-림프구도 골수에서 유래된다. . 이곳에서 성숙과정을 마치고 T-림프구가 되는 것이다. 1. 체액 내를 활발히 이동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종류의 세포를 잡아먹음. 즉 침입한 이물질이 단백질과 같은 분자라면 B-림프구가 결합하게 된다. 항원과 결합한 B-림프구는 유사분열을 반복하여 동일한 특이성을 갖는 클론을 형성한다. 생체의 감염방어기전인 비특이적?특이적 ......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의학] 감염방어기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생체의 감염방어기전인 비특이적?특이적 감염방어기전
♣ 비특이적 방어(선천성면역)
→ 침입자의 종류에 관계없이 방어반응을 하는 우리 몸의 1차적인 방어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작용하며 화학물질과 특정 백혈구가 이용된다.
방어부위
특징
피부
대부분의 박테리아 등이 통과할 수 없는 죽은 세포로 구성된 강력한 방어층
땀샘, 피부샘
땀 속의 산성성분과 피부샘에서 생산되는 지방 등이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
소화계
위산 : 음식과 함께 들어온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죽임.
호흡계
콧구멍의 털 : 들어오는 공기를 걸러줌.
호흡기의 점액 : 이곳을 통과하는 먼지, 미생물을 제거.
호흡기의 점모 : 점액을 위로 밀어올려 호흡기 밖으로 밀어냄.
체액, 혈액
백혈구 : 중성 백혈구와 단핵구 모두 감염된 조직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함.
대식세포 : 단핵구에서 유래된 커다란 세포. 체액 내를 활발히 이동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종류의 세포를 잡아먹음.
자연 살해 세포 : 바이러스 감염세포. 암세포를 죽임.
세포
항균성 단백질
? 인터페론 : 바이러스 감염세포에 의해 생성. 주변 세포보호. 매우 짧은 시간동안 일어나며 독감, 감기 들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효과적. 몇가지 암치료에도 효과적임.(바리어스 감염세포→그 세포의 핵서 인터페론 유전가 발현→인터페론 생산, 감염세포 죽음→주변세포로 인터페론 분산→주변 세포들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 단백질 생산)
? 보체 : 혈액 내 혈장에서 비활성 상태로 순환. 면역작용이나 미생물의협조에 의해 활성화. 미생물의 표면은 덮어 식세포의 작용을 쉽게하고 다른 단백질과 서로 반응하여 미생물의 표면에 구멍을 만들기도 하며 염증반응을 증폭시킴.
♣ 특이적 방어(후천성면역)
→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다시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등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천성면역는 림프조직을 중심으로 림프구의 활약상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B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지하고 이 항체는 주로 감염된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일컫는 체액성면역과 흉선에서 유래한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지칭하는 세포성 면역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후천성면역은 병원체 또는 그 독고를 면역원으로 예방접종하여 얻을 수 있다.
1. B-림프구(B-lymphocyte, B-cell)
적색골수에서 유래되는 백혈구로서 성숙된 후 골수를 떠난다. B-림프구는 체내에 들어온 수용성 항원과 결합한다. 즉 침입한 이물질이 단백질과 같은 분자라면 B-림프구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B-림프구의 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특정한 수용체와 결합하는 항원 부위를 항원결정기라고 한다. 항원과 결합한 B-림프구는 유사분열을 반복하여 동일한 특이성을 갖는 클론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클론 중 일부의 세포들이 형질세포로 분화된다. 형질세포는 세포질 내에 많은 조면소포체를 갖고 있으며 항원에 대한 수용체, 즉 항체를 합성하여 방출한다. 이렇게 분비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을 무력화시키는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2. T-림프구(T-lymphocyte, T-cell)
T-림프구도 골수에서 유래된다. 그러나 B-림프구와는 달리 성숙되기 전에 골수를 떠나 가슴샘으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성숙과정을 마치고 T-림프구가 되는 것이다. T-림프구도 B-림프구와 마찬가지로 세포의 표면이 항원에 대한 수용체로 덮혀있지만 그 성질이 약간 다르다. B-림프구가 수용성 항원과 결합하는 반면에 T-림프구는 침입한 이물질이 세포일 경우,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항원결정기를 인식하고 이것과 결합하게 된다. 또 한가지 특이한 것은 T-림프구가 결합하는 항원부위는 복합적이다. 즉 침입한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자이크와 같은 여러 개의 항원조각들이 함께 어우러져 T-림프구와 결합한다. 즉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성 이물질이 침입하였을 경우에는 B-림프구가 출동하는 것이 아니고, T-림프구가 접근하여 박테리아의 세포막 표면에 있는 비자기성분과 결합하는 것이다.
감염방어기전 MD 의학 감염방어기전 의학 MD 자료등록 의학 MD Down Down Down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자료등록
♣ 특이적 방어(후천성면역) →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다시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등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항원과 결합한 B-림프구는 유사분열을 반복하여 동일한 특이성을 갖는 클론을 형성한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B-림프구가 수용성 항원과 결합하는 반면에 T-림프구는 침입한 이물질이 세포일 경우,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항원결정기를 인식하고 이것과 결합하게 된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 그러나 B-림프구와는 달리 성숙되기 전에 골수를 떠나 가슴샘으로 이동한다. 매우 짧은 시간동안 일어나며 독감, 감기 들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효과적. 형질세포는 세포질 내에 많은 조면소포체를 갖고 있으며 항원에 대한 수용체, 즉 항체를 합성하여 방출한다. 세포 항균성 단백질 ? 인터페론 : 바이러스 감염세포에 의해 생 시험자료 서식 전문자료 halliday 솔루션 원서 실험결과 atkins 학업계획 자기소개서 시험족보 이력서 report 방송통신 sigmapress mcgrawhill 실습일지 stewart 표지 레포트 리포트 manuaal 논문 solution oxtoby 사업계.(바리어스 감염세포→그 세포의 핵서 인터페론 유전가 발현→인터페론 생산, 감염세포 죽음→주변세포로 인터페론 분산→주변 세포들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 단백질 생산) ? 보체 : 혈액 내 혈장에서 비활성 상태로 순환. 또 한가지 특이한 것은 T-림프구가 결합하는 항원부위는 복합적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작용하며 화학물질과 특정 백혈구가 이용된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체액, 혈액 백혈구 : 중성 백혈구와 단핵구 모두 감염된 조직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함.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이 후천성면역는 림프조직을 중심으로 림프구의 활약상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B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지하고 이 항체는 주로 감염된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일컫는 체액성면역과 흉선에서 유래한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지칭하는 세포성 면역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자연 살해 세포 : 바이러스 감염세포. 즉 침입한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모자이크와 같은 여러 개의 항원조각들이 함께 어우러져 T-림프구와 결합한다. 체액 내를 활발히 이동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종류의 세포를 잡아먹음. 미생물의 표면은 덮어 식세포의 작용을 쉽게하고 다른 단백질과 서로 반응하여 미생물의 표면에 구멍을 만들기도 하며 염증반응을 증폭시킴. B-림프구는 체내에 들어온 수용성 항원과 결합한다. 2. 이렇게 분비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을 무력화시키는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이곳에서 성숙과정을 마치고 T-림프구가 되는 것이다. 이때 B-림프구의 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특정한 수용체와 결합하는 항원 부위를 항원결정기라고 한다. 1. B-림프구(B-lymphocyte, B-cell) 적색골수에서 유래되는 백혈구로서 성숙된 후 골수를 떠난다. 주변 세포보호. 몇가지 암치료에도 효과적임. 생체의 감염방어기전인 비특이적?특이적 감염방어기전 ♣ 비특이적 방어(선천성면역) → 침입자의 종류에 관계없이 방어반응을 하는 우리 몸의 1차적인 방어이다. 즉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성 이물질이 침입하였을 경우에는 B-림프구가 출동하는 것이 아니고, T-림프구가 접근하여 박테리아의 세포막 표면에 있는 비자기성분과 결합하는 것이다. 면역작용이나 미생물의협조에 의해 활성화.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T-림프구도 B-림프구와 마찬가지로 세포의 표면이 항원에 대한 수용체로 덮혀있지만 그 성질이 약간 다르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호흡기의 점액 : 이곳을 통과하는 먼지, 미생물을 제거.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암세포를 죽임. 호흡계 콧구멍의 털 : 들어오는 공기를 걸러줌. T-림프구(T-lymphocyte, T-cell) T-림프구도 골수에서 유래된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소화계 위산 : 음식과 함께 들어온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죽임. 호흡기의 점모 : 점액을 위로 밀어올려 호흡기 밖으로 밀어냄. 그리고 이들 클론 중 일부의 세포들이 형질세포로 분화된다. 대식세포 : 단핵구에서 유래된 커다란 세포..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후천성면역은 병원체 또는 그 독고를 면역원으로 예방접종하여 얻을 수 있다. 방어부위 특징 피부 대부분의 박테리아 등이 통과할 수 없는 죽은 세포로 구성된 강력한 방어층 땀샘, 피부샘 땀 속의 산성성분과 피부샘에서 생산되는 지방 등이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의학] 감염방어기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 . 즉 침입한 이물질이 단백질과 같은 분자라면 B-림프구가 결합하게 된다. 의학 자료등록 감염방어기전 Down S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