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차에 걸쳐 9년 간 지원 가능 매 3년마다 평가를 통해 대상지역 재선정 및 단계적 축소 지원은 낙후 정도를 감안하여 차등(3등급) 지원 ‘낙후지역 졸업제도’를 도입,% 주민세 중 소득세율 2.4%, 복숭아 등을 이용하여 주스, 인센티브제 시/군 단위 신활력사업: 선정대상 및 대상지역 특성 인구/산업/경제적 자립도 세 가지 측면 고려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여 지역 경쟁력과 자립도가 낮은 지역 전국 234개 시/군/구에서 하위 70개 지역 신 활력 지역의 인구밀도는 전국평균의 1. ,,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 순이익 56% 증가 미국 및 대만 등에 수출 4차 산업 관광 또는 서비스 산업(3차 산업)을 결합하여 농업과 서비스의 융합 효과를 극대화하는 산업 농업에 관광업 등 유/무형의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 함평나비축제 나비의 청정 이미지를 지역 환경/문화/농산물 등에 접목시킨 지역 축제로 발전 군민의 71%가 1차 산업에 종사 친환경 농산물을 고가에 판매, 지방자치단체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
사례와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낙후지역의 정의 및 발전 필요성
Outline: 낙후지역의 분류 및 기존 발전시책
Analysis: 낙후지역의 지역별 분류 및 시책 사례
Conclusion: 결론
1
2
3
5
Challenges/Strategy: 문제점 및 대안
4
낙후지역의 정의 및 발전 필요성
Introduction
낙후지역의 정의
낙후지역의 정의
지역발전 역량 및 경제성장률 저조
낮은 인구성장률
주민의 생활수준 열악
높은 잉여노동력
전통 농업이 주 산업
문화적, 경제적 낙후로 인해 타 지역과 고립
낙후지역의 발전 필요성
낙후지역의 발전 필요성
만연한 노령화 현상과 인구감소현상
지역경제의 자립기반 붕괴 및 심각한 경제적 낙후
청장년층의 부재로 혁신역량 부족
만성적인 지역침체
지역/계층 간 격차 심화로 사회 갈등 유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낭비 발생
낙후지역의 분류 및 기존 발전시책
낙후지역의 분류: 제도적 분류
도서지역
접경지역
성장촉진지역
낙후지역
오지지역
개발촉진지구
제도상
분류
낙후지역의 분류: 지역별 분류
어촌지역
지방소도읍
농촌지역
탄광촌지역
지역별
분류
낙후지역의 발전시책: 기존 정책
농어촌
생활환경
정비사업
도서
개발사업
접경지역
종합개발
사업
지방소도읍
개발사업
집단화된 농어촌 건설
주민생활거점 지역 중점개발
토지 및 주택의 합리적 재배치
분산된 마을 정비
수질오염 방지
임대주택공급/관리
주택 개량
국토보전시설 정비/확충
생활 인프라 구축
배수시설 개선
전화/전기사업
교각/항만시설 설비
조림/육림/임도사업
SOC 확충
산림/환경 보전
산업/관광 개발
정부생활환경 개선
남북교류 및 평화통일기반 조성
문화재 발굴 및 문화유산 보존
지역별 전략사업
소도읍 종합육성계획
지역산업진흥사업
도시기반시설 확충
주민생활환경 개선
복지증진사업
문화/관광 육성
낙후지역의 지역별 분류 및 시책 사례
농촌낙후지역 발전시책: 신활력사업
개발사업의
소프트웨어적
접근
사업선정의
자율성과
향토성
지역혁신
자문관제도 및
혁신리더 육성
신활력사업
: 참여정부 시절 국가균형발전정책 측면에서 도입된 사업
으로 낙후지역 개발 정책 중 하나. 기존의 낙후지역 개발 정책이 낙후
지역의 장기적 자립발전기반 마련이라는 근본적인 정책목표 달성에
미흡한 점을 개선하고자 2005년부터 시작. 농어촌형 지역혁신체계(RIS)를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을 통해 지역의 혁신적인 발전역량을 정립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할 목적으로 지원
사업/지역간 연계성
선정지역범위
재정지원
사업평가체제
사업계획 수립방식
신활력사업: 기존정책과의 비교
추진 주체
사업내용
사업성격
기존정책
신활력사업
하드웨어에 집중
기반시설 조성
정부관청 주도
하향식/단위사업 중심
예산심의 외 없음
사업량/세부사업단위 별 지원
지구/읍/면 단위
소프트웨어에 집중
지역경제 활성화
민/관/학 협동 주도
상향식/자율적계획수립
다면평가체계 구축
낙후등급(3등급)에 따른 차별 지원, 인센티브제
시/군 단위
신활력사업: 선정대상 및 대상지역 특성
인구/산업/경제적
자립도 세 가지
측면 고려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여 지역
경쟁력과 자립도가
낮은 지역
전국 234개
시/군/구에서
하위 70개 지역
신 활력 지역의 인구밀도는 전국평균의 15.1%
재정력 지수는 36.2%
주민세 중 소득세율 2.5%에 불과
지난 30년 간 연평균 1.92%씩 인구 감소
신활력사업: 지원범위 및 방법
2005년부터 매년 국가재정 범위 지정
1차 지정 시 3년 간 지원, 최대 3차에 걸쳐 9년 간 지원 가능
매 3년마다 평가를 통해 대상지역 재선정 및 단계적 축소
지원은 낙후 정도를 감안하여 차등(3등급) 지원
‘낙후지역 졸업제도’를 도입, 조기졸업 시 인센티브 부여
2005년에는 총 2000억 원 가량 지원, 지방자치단체 별로 20~30억 원씩 차등 지원
신활력사업: 농산업 융/복합화 사례
개요
사례
사업 개요 및 성과
1.5차 산업
1차 산업 생산물에 다른 공업적 요소를 더하여 가공함으로 새로운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들어내는 활동
옥천 농협
생산-가공 단계를 연계
현대적 관리 시스템 도입
고부가가치 창출
연간 800톤의 포도와 산딸기, 배, 복숭아 등을 이용하여 주스, 잼 등으로 가공
2006년 전년대비 매출 8.4%, 순이익 56% 증가
미국 및 대만 등에 수출
4차 산업
관광 또는 서비스 산업(3차 산업)을 결합하여 농업과 서비스의 융합 효과를 극대화하는 산업
농업에 관광업 등 유/무형의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
함평나비축제
나비의 청정 이미지를 지역 환경/문화/농산물 등에 접목시킨 지역 축제로 발전
군민의 71%가 1차 산업에 종사
친환경 농산물을 고가에 판매, 농가소득 향상
지역이미지 재고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다양한 생태 및 문화 체험 활동 제공
직접소득 25억 원 및 부가가치 102억 원 창출
6차 산업
1차 산업에 특산물 가공(2차 산업)과 관광 프로그램 등 각종 서비스 (3차 산업)를 결합시켜 융합한 산업
임실치즈밸리
1/2/3차 산업을 융합하여 농업이 융합산업의 핵심소재 산업으로 전환
다운 시책사례 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낙후지역발전 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 시책사례 CC 다운 우리나라의 다운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 낙후지역발전사례 낙후지역발전 낙후지역발전사례 CC CC 낙후지역발전사례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5%에 불과 지난 30년 간 연평균 1. 기존의 낙후지역 개발 정책이 낙후 지역의 장기적 자립발전기반 마련이라는 근본적인 정책목표 달성에 미흡한 점을 개선하고자 2005년부터 시작.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우리나라의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 사례와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낙후지역의 정의 및 발전 필요성 Outline: 낙후지역의 분류 및 기존 발전시책 Analysis: 낙후지역의 지역별 분류 및 시책 사례 Conclusion: 결론 1 2 3 5 Challenges/Strategy: 문제점 및 대안 4 낙후지역의 정의 및 발전 필요성 Introduction 낙후지역의 정의 낙후지역의 정의 지역발전 역량 및 경제성장률 저조 낮은 인구성장률 주민의 생활수준 열악 높은 잉여노동력 전통 농업이 주 산업 문화적, 경제적 낙후로 인해 타 지역과 고립 낙후지역의 발전 필요성 낙후지역의 발전 필요성 만연한 노령화 현상과 인구감소현상 지역경제의 자립기반 붕괴 및 심각한 경제적 낙후 청장년층의 부재로 혁신역량 부족 만성적인 지역침체 지역/계층 간 격차 심화로 사회 갈등 유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낭비 발생 낙후지역의 분류 및 기존 발전시책 낙후지역의 분류: 제도적 분류 도서지역 접경지역 성장촉진지역 낙후지역 오지지역 개발촉진지구 제도상 분류 낙후지역의 분류: 지역별 분류 어촌지역 지방소도읍 농촌지역 탄광촌지역 지역별 분류 낙후지역의 발전시책: 기존 정책 농어촌 생활환경 정비사업 도서 개발사업 접경지역 종합개발 사업 지방소도읍 개발사업 집단화된 농어촌 건설 주민생활거점 지역 중점개발 토지 및 주택의 합리적 재배치 분산된 마을 정비 수질오염 방지 임대주택공급/관리 주택 개량 국토보전시설 정비/확충 생활 인프라 구축 배수시설 개선 전화/전기사업 교각/항만시설 설비 조림/육림/임도사업 SOC 확충 산림/환경 보전 산업/관광 개발 정부생활환경 개선 남북교류 및 평화통일기반 조성 문화재 발굴 및 문화유산 보존 지역별 전략사업 소도읍 종합육성계획 지역산업진흥사업 도시기반시설 확충 주민생활환경 개선 복지증진사업 문화/관광 육성 낙후지역의 지역별 분류 및 시책 사례 농촌낙후지역 발전시책: 신활력사업 개발사업의 소프트웨어적 접근 사업선정의 자율성과 향토성 지역혁신 자문관제도 및 혁신리더 육성 신활력사업 : 참여정부 시절 국가균형발전정책 측면에서 도입된 사업 으로 낙후지역 개발 정책 중 하나.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5차 산업 1차 산업 생산물에 다른 공업적 요소를 더하여 가공함으로 새로운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들어내는 활동 옥천 농협 생산-가공 단계를 연계 현대적 관리 시스템 도입 고부가가치 창출 연간 800톤의 포도와 산딸기, 배, 복숭아 등을 이용하여 주스, 잼 등으로 가공 2006년 전년대비 매출 8.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 재정력 지수는 36. 농어촌형 지역혁신체계(RIS)를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을 통해 지역의 혁신적인 발전역량을 정립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할 목적으로 지원 사업/지역간 연계성 선정지역범위 재정지원 사업평가체제 사업계획 수립방식 신활력사업: 기존정책과의 비교 추진 주체 사업내용 사업성격 기존정책 신활력사업 하드웨어에 집중 기반시설 조성 정부관청 주도 하향식/단위사업 중심 예산심의 외 없음 사업량/세부사업단위 별 지원 지구/읍/면 단위 소프트웨어에 집중 지역경제 활성화 민/관/학 협동 주도 상향식/자율적계획수립 다면평가체계 구축 낙후등급(3등급)에 따른 차별 지원, 인센티브제 시/군 단위 신활력사업: 선정대상 및 대상지역 특성 인구/산업/경제적 자립도 세 가지 측면 고려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여 지역 경쟁력과 자립도가 낮은 지역 전국 234개 시/군/구에서 하위 70개 지역 신 활력 지역의 인구밀도는 전국평균의 15 실험결과 실습일지 표지 atkins 이력서 manuaal 사업계획 방송통신 학업계획 전문자료 mcgrawhill 시험족보 halliday report sigmapress 솔루션 서식 자기소개서 레포트 리포트 원서 시험자료 solution 논문 stewart oxtob.4%, 순이익 56% 증가 미국 및 대만 등에 수출 4차 산업 관광 또는 서비스 산업(3차 산업)을 결합하여 농업과 서비스의 융합 효과를 극대화하는 산업 농업에 관광업 등 유/무형의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 함평나비축제 나비의 청정 이미지를 지역 환경/문화/농산물 등에 접목시킨 지역 축제로 발전 군민의 71%가 1차 산업에 종사 친환경 농산물을 고가에 판매, 농가소득 향상 지역이미지 재고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다양한 생태 및 문화 체험 활동 제공 직접소득 25억 원 및 부가가치 102억 원 창출 6차 산업 1차 산업에 특산물 가공(2차 산업)과 관광 프로그램 등 각종 서비스 (3차 산업)를 결합시켜 융합한 산업 임실치즈밸리 1/2/3차 산업을 융합하여 농업이 융합산업의 핵심소재 산업으로 전환.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92%씩 인구 감소 신활력사업: 지원범위 및 방법 2005년부터 매년 국가재정 범위 지정 1차 지정 시 3년 간 지원, 최대 3차에 걸쳐 9년 간 지원 가능 매 3년마다 평가를 통해 대상지역 재선정 및 단계적 축소 지원은 낙후 정도를 감안하여 차등(3등급) 지원 ‘낙후지역 졸업제도’를 도입, 조기졸업 시 인센티브 부여 2005년에는 총 2000억 원 가량 지원, 지방자치단체 별로 20~30억 원씩 차등 지원 신활력사업: 농산업 융/복합화 사례 개요 사례 사업 개요 및 성과 1.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 우리나라의 낙후지역발전 시책사례,낙후지역발전사례,낙후지역분류및발전시책 다운 YU .2% 주민세 중 소득세율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