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tube는 아무 처리하지 않는다 3. 37℃ 진탕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tube 내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LB 배지 + E. 먼저 첫번째 streaking 하고 난 후에(streaking을 할 때에는 plate에서 안 떨어지게 주의!!) 2.. 배지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내용물을 규정 농도로 저울 등으로 달아 용기에 담고 혼합하여 물을 가한 후 멸균하여 사용하며, 무기염류,, 이름 실험 Method 액체 배양(Liquid culture) 1.coli. 멸균된 LB agar 배지를 plate에 붓고 굳힌다 2.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 발효(고체 및 액체배양) 배지(Media)란 무엇인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에너지원,사전적인 의미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염류 및 생장인자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요구하므로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멸균된 LB 액체배지를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 발효(고체 및 액체배양)
배지(Media)란 무엇인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에너지원,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생장인자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요구하므로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사전적인 의미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으로 기체상으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한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비타민류) 등을 공급해준다
배지(Media)의 종류
복합배지(complex medium)
- 조성이 화학적으로 분석되지 않은(또는 분석이 불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
(예 : 육즙, 효모추출물 등이 포함된 배지)
농화배지(enriched medium)
- 영양 배지에 혈청 등을 첨가하여 병원성 세균 등과 같이 영양(요구)조건이 까다로운 세균의
생장을 위해 고안된 배지
감별배지(differential medium)
- 세균이 자람에 따라 특정한 생장이나 변화를 인지함으로써 세균의 감별이 용이하도록 지시약
등의 화학물질이 첨가된 배지
합성배지(synthetic or chemically defined medium)
- 화학적 조성이 알려진 물질(화합물)로 구성된 배지
선택배지(selective medium)
- 특정미생물만 생장이 가능하도록 다른 미생물의 생장 저해제가 포함된 배지
배지(Media)의 준비
액체배지는 주로 미생물의 생리 및 생화학적 실험이나 대량배양에 사용 되며 고체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분리 배양에 사용된다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agar(한천), 젤라틴 등을 넣어 만든 배지이며, 한천은 녹는점(90~100℃)과 굳는 점(40~50℃)의 온도 차가 커서 고체배지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배지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내용물을 규정 농도로 저울 등으로 달아 용기에 담고 혼합하여 물을 가한 후 멸균하여 사용하며, 대체로 배지의 멸균은 고온 증기멸균법으로 행한다
예) LB(Luria-Bertani) broth medium 제조 :
dissolve 25g of the powder in 1L of purified water
멸균(Sterilization)의 종류
건열멸균(dry heat sterilization)
- 주로 유리기구 등과 같이 고온에 안전한 물체를 멸균할 때 사용하며 균 대상물체를 건열멸균기에
넣고 160°정도에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가열하여 멸균한다
습열멸균 혹은 고압증기멸균(steam sterilization)
- 고압증기 멸균기(autocalve)에 멸균할 물체를 넣고 밀폐하여 121°C에서 15-20분간
처리하여 멸균하는 방법이다
화염멸균(flame sterilization)
- 백금이나 백금선 또는 시험관이나 플라스크의 입 언저리와 같이 불꽃에 직접 접촉하여도 안전한
물건에 묻어 있는 미생물을 불꽃으로 태워서 멸균한다
여과멸균(sterilization by filtration)
- 열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액상 물질을 여과기에 통과시켜 미생물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을 여과멸균이라 한다
Streaking 방법
1. 먼저 첫번째 streaking 하고 난 후에(streaking을 할 때에는 plate에서 안 떨어지게 주의!!)
2. 백금선을 두번째 streaking시 첫번째 했던 줄에서 끝부분에 살짝만 걸쳐서 streaking을 하고
3. 이런식으로 3~4번 정도 반복한다
실험 Method
고체 배양(Plate incubate)
1. 멸균된 LB agar 배지를 plate에 붓고 굳힌다
2. Plate를 크게 3등분 한다
2. 손(발, 입 등)에서 세정(물 and alcohol) 전/후에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균을 채취하여 LB agar 배지에 Streaking한다
3. 37℃ 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생성된 군집을 관찰하여 기록한다
조, 이름
실험 Method
액체 배양(Liquid culture)
1. 멸균된 LB 액체배지를 4ml 씩 Culture tube에 담는다
2. 하나의 tube에만 대장균을 접종하고, 나머지 tube는 아무 처리하지
않는다
3. 37℃ 진탕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tube 내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LB 배지
+
E.coli
액체배양) SD 및 미생물배양(고체 및 SD 및 업로드 미생물배양(고체 SD 액체배양) 업로드 미생물배양(고체 업로드 액체배양)
oli. 37℃ 진탕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tube 내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LB 배지 + E. 멸균된 LB 액체배지를 4ml 씩 Culture tube에 담는다 2. Plate를 크게 3등분 한다 2.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37℃ 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생성된 군집을 관찰하여 기록한다 조, 이름 실험 Method 액체 배양(Liquid culture) 1.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 발효(고체 및 액체배양) 배지(Media)란 무엇인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에너지원,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생장인자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요구하므로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7℃ 진탕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tube 내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LB 배지 + E.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배지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내용물을 규정 농도로 저울 등으로 달아 용기에 담고 혼합하여 물을 가한 후 멸균하여 사용하며, 대체로 배지의 멸균은 고온 증기멸균법으로 행한다 예) LB(Luria-Bertani) broth medium 제조 : dissolve 25g of the powder in 1L of purified water 멸균(Sterilization)의 종류 건열멸균(dry heat sterilization) - 주로 유리기구 등과 같이 고온에 안전한 물체를 멸균할 때 사용하며 균 대상물체를 건열멸균기에 넣고 160°정도에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가열하여 멸균한다 습열멸균 혹은 고압증기멸균(steam sterilization) - 고압증기 멸균기(autocalve)에 멸균할 물체를 넣고 밀폐하여 121°C에서 15-20분간 처리하여 멸균하는 방법이다 화염멸균(flame sterilization) - 백금이나 백금선 또는 시험관이나 플라스크의 입 언저리와 같이 불꽃에 직접 접촉하여도 안전한 물건에 묻어 있는 미생물을 불꽃으로 태워서 멸균한다 여과멸균(sterilization by filtration) - 열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액상 물질을 여과기에 통과시켜 미생물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을 여과멸균이라 한다 Streaking 방법 1. 이런식으로 3~4번 정도 반복한다 실험 Method 고체 배양(Plate incubate) 1.coli. 이런식으로 3~4번 정도 반복한다 실험 Method 고체 배양(Plate incubate) 1. 손(발, 입 등)에서 세정(물 and alcohol) 전/후에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균을 채취하여 LB agar 배지에 Streaking한다 3. 먼저 첫번째 streaking 하고 난 후에(streaking을 할 때에는 plate에서 안 떨어지게 주의!!) 2.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백금선을 두번째 streaking시 첫번째 했던 줄에서 끝부분에 살짝만 걸쳐서 streaking을 하고 3. 하나의 tube에만 대장균을 접종하고, 나머지 tube는 아무 처리하지 않는다 3. 백금선을 두번째 streaking시 첫번째 했던 줄에서 끝부분에 살짝만 걸쳐서 streaking을 하고 3. 37℃ 배양기에서 12시간~16시간 배양 후 생성된 군집을 관찰하여 기록한다 조, 이름 실험 Method 액체 배양(Liquid culture) 1. 사전적인 의미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으로 기체상으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한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비타민류) 등을 공급해준다 배지(Media)의 종류 복합배지(complex medium) - 조성이 화학적으로 분석되지 않은(또는 분석이 불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 (예 : 육즙, 효모추출물 등이 포함된 배지) 농화배지(enriched medium) - 영양 배지에 혈청 등을 첨가하여 병원성 세균 등과 같이 영양(요구)조건이 까다로운 세균의 생장을 위해 고안된 배지 감별배지(differential medium) - 세균이 자람에 따라 특정한 생장이나 변화를 인지함으로써 세균의 감별이 용이하도록 지시약 등의 화학물질이 첨가된 배지 합성배지(synthetic or chemically defined medium) - 화학적 조성이 알려진 물질(화합물)로 구성된 배지 선택배지(selective medium) - 특정미생물만 생장이 가능하도록 다른 미생물의 생장 저해제가 포함된 배지 배지(Media)의 준비 액체배지는 주로 미생물의 생리 및 생화학적 실험이나 대량배양에 사용 되며 고체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분리 배양에 사용된다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agar(한천), 젤라틴 등을 넣어 만든 배지이며, 한천은 녹는점(90~100℃)과 굳는 점(40~50℃)의 온도 차가 커서 고체배지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먼저 첫번째 streaking 하고 난 후에(streaking을 할 때에는 plate에서 안 떨어지게 주의!!) 2 손(발, 입 등)에서 세정(물 and alcohol) 전/후에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균을 채취하여 LB agar 배지에 Streaking한다 3.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Plate를 크게 3등분 한다 2. 배지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내용물을 규정 농도로 저울 등으로 달아 용기에 담고 혼합하여 물을 가한 후 멸균하여 사용하며, 대체로 배지의 멸균은 고온 증기멸균법으로 행한다 예) LB(Luria-Bertani) broth medium 제조 : dissolve 25g of the powder in 1L of purified water 멸균(Sterilization)의 종류 건열멸균(dry heat sterilization) - 주로 유리기구 등과 같이 고온에 안전한 물체를 멸균할 때 사용하며 균 대상물체를 건열멸균기에 넣고 160°정도에서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가열하여 멸균한다 습열멸균 혹은 고압증기멸균(steam sterilization) - 고압증기 멸균기(autocalve)에 멸균할 물체를 넣고 밀폐하여 121°C에서 15-20분간 처리하여 멸균하는 방법이다 화염멸균(flame sterilization) - 백금이나 백금선 또는 시험관이나 플라스크의 입 언저리와 같이 불꽃에 직접 접촉하여도 안전한 물건에 묻어 있는 미생물을 불꽃으로 태워서 멸균한다 여과멸균(sterilization by filtration) - 열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액상 물질을 여과기에 통과시켜 미생물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을 여과멸균이라 한다 Streaking 방법 1.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업로드 XC . 멸균된 LB agar 배지를 plate에 붓고 굳힌다 2. 멸균된 LB 액체배지를 4ml 씩 Culture tube에 담는다 2. 하나의 tube에만 대장균을 접종하고, 나머지 tube는 아무 처리하지 않는다 3. 멸균된 LB agar 배지를 plate에 붓고 굳힌다 2. 사전적인 의미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으로 기체상으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한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비타민류) 등을 공급해준다 배지(Media)의 종류 복합배지(complex medium) - 조성이 화학적으로 분석되지 않은(또는 분석이 불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 (예 : 육즙, 효모추출물 등이 포함된 배지) 농화배지(enriched medium) - 영양 배지에 혈청 등을 첨가하여 병원성 세균 등과 같이 영양(요구)조건이 까다로운 세균의 생장을 위해 고안된 배지 감별배지(differential medium) - 세균이 자람에 따라 특정한 생장이나 변화를 인지함으로써 세균의 감별이 용이하도록 지시약 등의 화학물질이 첨가된 배지 합성배지(synthetic or chemically defined medium) - 화학적 조성이 알려진 물질(화합물)로 구성된 배지 선택배지(selective medium) - 특정미생물만 생장이 가능하도록 다른 미생물의 생장 저해제가 포함된 배지 배지(Media)의 준비 액체배지는 주로 미생물의 생리 및 생화학적 실험이나 대량배양에 사용 되며 고체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분리 배양에 사용된다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agar(한천), 젤라틴 등을 넣어 만든 배지이며, 한천은 녹는점(90~100℃)과 굳는 점(40~50℃)의 온도 차가 커서 고체배지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배양(고체 및 액체배양) 미생물 발효(고체 및 액체배양) 배지(Media)란 무엇인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에너지원,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생장인자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요구하므로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