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 중 1가지 이론을 선정하여, 해당 이론에 근거한 사례 아동 지도 및 중재방법을 작성하시오 Up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 중 1가지 이론을 선정하여, 해당 이론에 근거한 사례 아동 지도 및 중재방법을 작성하시오
정서행동장애의 인지모델에서는 정서 및 행동장애의 원인이 인지와 정서 간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고, 생각하는 방법, 즉 자신에 대한 지각과 신념을 변화시키면 정서 및 행동 반응도 변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들은 신체생리학적 모델이나 심리역동적 모델과 비슷하게 인간의 내적 과정이 장애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며, 주로 잘못된 정서 및 행동문제는 기대, 평가, 귀인 등의 단기적인지 과정이나 신념체계와 같은 장기적인 인지 과정이 잘못되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Coleman & Webber, 2002, PP. 88-111).
인지적 평가는 아동용 인지검사와 같은 질문지, 생각했던 것을 목록화하도록 하는 생각목록, 소리 내어 생각하기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왜곡된 사고나 인지적 결함이 확인되면 대안적인지나 새로운 사고 전략을 가르치고 강화함으로써 정서를 순화시키고 보다 적절한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아동에게 다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친다는 개념은 여러 가지 인지적 재구조화 및 인지 전략 훈련 프로그램으로 발전되어 왔다.
인지적 재구조화 기법은 합리적 정서치료, 재귀인 훈련, 이완훈련, 긍정적 상상 절차, 적극성 훈련, 교정적인 자기 말하기 및 자기교수, 사고 평가하기, 반대 역할놀이 및 재구성 사고, 자기효능감 훈련, 문제해결 치료 등이 있다. 인지적 치료는 그 효능을 실증적으로 보여 주기가 쉽지는 않지만, 정신병적 혹은 양극성 장애가 아니라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고, 우울증의 단기적 증상 완화, 약물 남용, 섭식장애, 공포장애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때로 인지적 치료는 행동주의적 모델과 인지주의적 모델을 모두 수용하여 인지적 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나 인지적 행동수정(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CBM)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지적 행동치료 방법으로는 자기교수, 자기점검, 자기평가, 인지 전략 교수 등이 있다. 특히 자기점검법과 인지적 전략교수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행동이나 학습 개선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방법들은 인지적 재구조화와 기술훈련 기법들을 통합시킨 것으로 행동시연, 강화, 벌과 같은 행동주의적 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