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경우 선주는 선박에 일체의 선박부속용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키는 등 선박의 운항상태를 파악하여 소정의 항구에서 용선주에게 인도하여야 한다. 복합운송 Ⅷ. 국제운송은 크게 보면 물류관리(logistics)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정기(기간)용선계약 2. 기본운임은 단일운임률제도와 이중운임률제도가 있다. I. 전용선으로는 냉동선, 목패전용선, 광석전용선, 군수자재의 발주, 곡물전용선, 운송, 재고관리, 부정기선(tramper)은 선박이 화물을 찾아간다고 할 수 있다.. 물류관리 Ⅱ.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Ⅴ. 부과료란 화주나 동 물품관계인의 의뢰에 따라 본래의 운송조건이 변경되거나 특별한 운송 또는 선적조건의 경우에 부과되는 것으로서, 즉 연료비 항비 화물비 등을 부담하여야 한다. 전용선운송은 광의로는 부정기운송의 일종이나, 신용장 등에 의한 선적기일 이내에 확실히 선적할 수 있는 선박을 들 수 있다.. 물류관리 Ⅱ.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Ⅵ. 물류관리 경제활동에 있어 생산과 ......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목차
국제운송
Ⅰ. 물류관리
Ⅱ. 선박운송의 종류
Ⅲ.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Ⅳ.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Ⅴ. 용선운송계약
1. 정기(기간)용선계약
2.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Ⅵ. 컨테이너선
1.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2. Container Yard(CY)
3.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Ⅶ. 복합운송
Ⅷ. 운송서류
국제운송
해운이란 영업적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장소적인 이동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Siberian Land Bridge, US Land Bridge, US Mini Land Bridge(MLB) 등에 의한 해륙연결운송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국제운송은 크게 보면 물류관리(logistics)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I. 물류관리
경제활동에 있어 생산과 소비...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목차
국제운송
Ⅰ. 물류관리
Ⅱ. 선박운송의 종류
Ⅲ.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Ⅳ.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Ⅴ. 용선운송계약
1. 정기(기간)용선계약
2.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Ⅵ. 컨테이너선
1.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2. Container Yard(CY)
3.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Ⅶ. 복합운송
Ⅷ. 운송서류
국제운송
해운이란 영업적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장소적인 이동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Siberian Land Bridge, US Land Bridge, US Mini Land Bridge(MLB) 등에 의한 해륙연결운송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국제운송은 크게 보면 물류관리(logistics)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I. 물류관리
경제활동에 있어 생산과 소비는 시간과 공간의 괴리를 극복하여야 최종적인 가치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지리적 간격을 극복하여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물류관리라고 한다. 로지스틱스(logistics)는 제 2차 세계대전 중에 생산활동(operation research)과 함께 군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개념이다. 즉, 군수자재의 발주, 구입, 재고관리, 배급, 운송, 통신 등의 규격화와 품질관리에 필요한 자재관리를 포함하고 있다.
II. 선박운송의 종류
선박회사가 동일 항로에 정기적으로 선박을 운항할 경우를 정기선박(liner)운송이라 한다. 정기선의 경우는 화물이 선박을 찾아오는데 반해, 부정기선(tramper)은 선박이 화물을 찾아간다고 할 수 있다. 전용선운송은 광의로는 부정기운송의 일종이나, 전용선에는 특정 종류의 화물운송에 적합한 특수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전용선으로는 냉동선, 유류를 수송하는 유조선, 곡물전용선, 목패전용선, 자동차 수송전용선, 광석전용선, 가스전용선뿐만 아니라 광석 유류겸용 전용선 등도 있다. 전용선은 그 대상 화물에 관한 한 일반화물선에 비해서 운송비용부담의 감소와 운송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최근에는 LPG, LNG와 같은 전용선의 운송비중이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III.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해운동맹이란 특정한 항로에 정기선박을 취항시키는 해운업자들이 상호간의 과당경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임률 기항지 취항횟수 적취화물의 종류 및 수량, 공동계산 등 해운활동의 일부에 대하여 상호간에 협정하고 이를 이행하려는 국제적인 카르텔을 말한다. 해운동맹은 일반적으로 운임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운임동맹이라고도 한다.
기본운임은 단일운임률제도와 이중운임률제도가 있다. 부과료란 화주나 동 물품관계인의 의뢰에 따라 본래의 운송조건이 변경되거나 특별한 운송 또는 선적조건의 경우에 부과되는 것으로서, 환적료와 할증료가 있다. 운임을 결정하는데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화물을 중량화물, 용적에 의하는 화물을 용적화물이라고 한다. 그리고 운임계산에 있어서 중량 용적 종가 등의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선박회사의 임의결정사항이다.
정기선의 경우에는 운임표에 반드시 적용통화를 표시하고 있고, 구체적인 운임지급지, 즉 CFR이나 CIF와 같이 운임이 선급인 경우에는 선적지에서 B/L발급일의 환율이 적용되고, FOB와 같이 운임이 후급인 경우에는 양륙지에서 화물인도지시서 발급일의 환율이 적용된다.
수출입화물을 해상운송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선적할 선복을 확보하여야 하고, 선복을 확보함에 있어서는 화물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서 개별운송을 할 것인가 또는 용선운송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적합한 선복을 찾아서 운송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IV.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운임이 채산상 유리한 선박의 선택, 필요한 선복을 충분히 제공하는 선박의 선택, 선령초과선 소형선 목선 범선 등 소정의 검사준수규격 미달의 선박 회피, 신용장 등에 의한 선적기일 이내에 확실히 선적할 수 있는 선박을 들 수 있다.
V. 용선운송계약
용선운송계약은 대량화물의 화주가 선박회사로부터 선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빌려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에 체결하는 계약으로, 이는 개품 운송계약과는 달리 반드시 계약서의 작성형식을 취하는데, 이를 용선운송계약서라 하고 이와 같은 용선운송계약의 경우 동 계약서를 작성하여 당사자가 각각 서명하여 1통씩 보관한다.
1) 정기(기간)용선계약
정기(기간)용선계약이란 선박을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용선하는 계약으로, 이 경우 선주는 선박에 일체의 선박부속용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키는 등 선박의 운항상태를 파악하여 소정의 항구에서 용선주에게 인도하여야 한다. 그리고 경비의 부담에 있어서 선주는 선비, 즉 간접비 선박감가상각비 및 금리와 직접비인 선원비 수리비 선용품 등을 부담하여야 하고, 용선주는 용선료 이외에 운항비, 즉 연료비 항비 화물비 등을 부담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정기용선주는 용선한 선박으로 자기 자신의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용선주는 해운업자로서 선박을 정기 또는 부정기로 운영하여 타인의 화물을 운송해서 얻어지는 운임으로서 전술한 제반비용을 지급하고 차액을 이익으로서 얻고 있다.
2)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항해용선계약이라 일정한 항구에서 항구까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화주와 선박회사 간에 체결하는 용선계약을 말한다. 표준계약서 서식의 대표적인 것으로 1922딘에 발틱 국제해사협력회의 전신인 발틱 백해협의회가 제정하여 영국해운회의소에서 채택한 GENCON이 있다. 이는 1966년에 개정되어 특정화물 및 항로에 한정되지 않는 일반용 서식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다.
VI. 컨테이너선
최근에는 container ship을 건조하여 화물의 특수성에 따라 컨테이너에 의한 운송이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화물을 컨테이너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이는 최소한 1개의
그리고 경비의 부담에 있어서 선주는 선비, 즉 간접비 선박감가상각비 및 금리와 직접비인 선원비 수리비 선용품 등을 부담하여야 하고, 용선주는 용선료 이외에 운항비, 즉 연료비 항비 화물비 등을 부담하여야 한다. 복합운송 Ⅷ.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운임이 채산상 유리한 선박의 선택, 필요한 선복을 충분히 제공하는 선박의 선택, 선령초과선 소형선 목선 범선 등 소정의 검사준수규격 미달의 선박 회피, 신용장 등에 의한 선적기일 이내에 확실히 선적할 수 있는 선박을 들 수 있 시험자료 solution atkins 전문자료 report 이력서 원서 자기소개서 halliday 시험족보 서식 학업계획 sigmapress 표지 방송통신 manuaal 실험결과 레포트 논문 mcgrawhill 리포트 stewart oxtoby 사업계획 실습일지 솔루.. 선박운송의 종류 선박회사가 동일 항로에 정기적으로 선박을 운항할 경우를 정기선박(liner)운송이라 한다. 물류관리 경제활동에 있어 생산과 소비는 시간과 공간의 괴리를 극복하여야 최종적인 가치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Ⅴ.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II. 물류관리 Ⅱ.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목차 국제운송 Ⅰ. 로지스틱스(logistics)는 제 2차 세계대전 중에 생산활동(operation research)과 함께 군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개념이다. 그리고 운임계산에 있어서 중량 용적 종가 등의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선박회사의 임의결정사항이다. 표준계약서 서식의 대표적인 것으로 1922딘에 발틱 국제해사협력회의 전신인 발틱 백해협의회가 제정하여 영국해운회의소에서 채택한 GENCON이 있다. Container Yard(CY) 3.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Ⅵ. 즉, 군수자재의 발주, 구입, 재고관리, 배급, 운송, 통신 등의 규격화와 품질관리에 필요한 자재관리를 포함하고 있다.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정기(기간)용선계약 2. 용선운송계약 1. 운송계약체결 시 화주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 Ⅴ. 컨테이너선 1. 해운동맹은 일반적으로 운임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운임동맹이라고도 한다. 전용선은 그 대상 화물에 관한 한 일반화물선에 비해서 운송비용부담의 감소와 운송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최근에는 LPG, LNG와 같은 전용선의 운송비중이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선박운송의 종류 Ⅲ.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2.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해운동맹이란 특정한 항로에 정기선박을 취항시키는 해운업자들이 상호간의 과당경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임률 기항지 취항횟수 적취화물의 종류 및 수량, 공동계산 등 해운활동의 일부에 대하여 상호간에 협정하고 이를 이행하려는 국제적인 카르텔을 말한다. 정기(기간)용선계약 2. Container Yard(CY) 3.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정기선의 경우는 화물이 선박을 찾아오는데 반해, 부정기선(tramper)은 선박이 화물을 찾아간다고 할 수 있다.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컨테이너선 최근에는 container ship을 건조하여 화물의 특수성에 따라 컨테이너에 의한 운송이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화물을 컨테이너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Ⅳ. 물류관리 경제활동에 있어 생산과 소비. III. 운송서류 국제운송 해운이란 영업적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장소적인 이동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지리적 간격을 극복하여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물류관리라고 한다. 수출입화물을 해상운송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선적할 선복을 확보하여야 하고, 선복을 확보함에 있어서는 화물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서 개별운송을 할 것인가 또는 용선운송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적합한 선복을 찾아서 운송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IV.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전용선으로는 냉동선, 유류를 수송하는 유조선, 곡물전용선, 목패전용선, 자동차 수송전용선, 광석전용선, 가스전용선뿐만 아니라 광석 유류겸용 전용선 등도 있다. 2)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항해용선계약이라 일정한 항구에서 항구까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화주와 선박회사 간에 체결하는 용선계약을 말한다. 국제운송은 크게 보면 물류관리(logistics)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류관리 Ⅱ. 해운동맹 및 기본운임 Ⅳ. 1980년대 중반 이후 Siberian Land Bridge, US Land Bridge, US Mini Land Bridge(MLB) 등에 의한 해륙연결운송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는 1966년에 개정되어 특정화물 및 항로에 한정되지 않는 일반용 서식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다. 전용선운송은 광의로는 부정기운송의 일종이나, 전용선에는 특정 종류의 화물운송에 적합한 특수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국제운송은 크게 보면 물류관리(logistics)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용선운송계약 용선운송계약은 대량화물의 화주가 선박회사로부터 선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빌려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에 체결하는 계약으로, 이는 개품 운송계약과는 달리 반드시 계약서의 작성형식을 취하는데, 이를 용선운송계약서라 하고 이와 같은 용선운송계약의 경우 동 계약서를 작성하여 당사자가 각각 서명하여 1통씩 보관한다.. V.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Ⅶ. 용선운송계약 1.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목차 국제운송 Ⅰ. VI. I.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항해용선계약의 의의 Ⅵ. 운임을 결정하는데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화물을 중량화물, 용적에 의하는 화물을 용적화물이라고 한다.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Ⅶ. 복합운송 Ⅷ. 부과료란 화주나 동 물품관계인의 의뢰에 따라 본래의 운송조건이 변경되거나 특별한 운송 또는 선적조건의 경우에 부과되는 것으로서, 환적료와 할증료가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Siberian Land Bridge, US Land Bridge, US Mini Land Bridge(MLB) 등에 의한 해륙연결운송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컨테이너선 1.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1)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이는 최소한 1개의. I. 이 경우 정기용선주는 용선한 선박으로 자기 자신의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용선주는 해운업자로서 선박을 정기 또는 부정기로 운영하여 타인의 화물을 운송해서 얻어지는 운임으로서 전술한 제반비용을 지급하고 차액을 이익으로서 얻고 있다. 정기선의 경우에는 운임표에 반드시 적용통화를 표시하고 있고, 구체적인 운임지급지, 즉 CFR이나 CIF와 같이 운임이 선급인 경우에는 선적지에서 B/L발급일의 환율이 적용되고, FOB와 같이 운임이 후급인 경우에는 양륙지에서 화물인도지시서 발급일의 환율이 적용된다. 기본운임은 단일운임률제도와 이중운임률제도가 있다. 1) 정기(기간)용선계약 정기(기간)용선계약이란 선박을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용선하는 계약으로, 이 경우 선주는 선박에 일체의 선박부속용구를 갖추고 선원을 승선시키는 등 선박의 운항상태를 파악하여 소정의 항구에서 용선주에게 인도하여야 한다. 국제운송(국제운송방법) 다운 BX . 선박운송의 종류 Ⅲ. 운송서류 국제운송 해운이란 영업적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의 장소적인 이동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