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지식 탐구와 비과학적 지식 탐구 방법에 대하여 비교, 토론하시오 Up
과학적 지식 탐구와 비과학적 지식 탐구 방법에 대하여 비교, 토론하시오
내용
과학지식탐구는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증명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교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이고 재현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회과학의 특성을 지닌 사회복지에서는 과학적 연구와 조사를 통해 주체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밝혀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과학적 지식탐구는 관습(전통), 권위, 직관에 의해 문제를 입증하는 방법으로 과도한 일반화, 부정확한 관찰, 비논리적인 추론, 선택적 관찰 등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관습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고 지식으로 받아들이거나, 권위 있는 사람의 의견을 이끌어내 논쟁의 타당성과 설득력을 갖게 하거나, 추론의 과정 없이 당연하게 여기는 주장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비과학적 지식 탐구는 조사연구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인지하고 멀리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관습이나 권위, 직관으로는 결코 사회문제나 주체의 욕구가 드러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수치적 결과를 가진 대상자에게 적합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제공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도 과학적 지식 탐구의 필요성이 필요하다. 정당성 검증은 타인을 설득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때 관습이나 권위, 직관을 이용하여 설득하는 것보다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설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