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정의 및 특성 연구 보고서
[목차]
1. 사회복지의 개념
Ⅱ. 사회복지정책의 특성
1. 사회복지정책의 일반적 특성
2. 정책결정과정상의 특성
* 참고문헌
Ⅰ.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와 `정책`이라는 두 용어의 복합개념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정
책의 개념은 `사회복지란 무엇이며, 정책이란 무엇인가`라는 하위 질문의 해답에 따라 결
정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사회복지정책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
복지`와 `정책`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1. 사회복지의 개념
복지란, 국어사전에는 `행복, 복리, 번영`의 의미로 설명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일제강
점기나 미군정 시까지는 주로 후생(厚生)이라는 용어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Oxford사전
을 보면 복지(welfare)란 `good fortune, happiness, or well being(of a person, community, etc.)`으로 표현되어 있어 행운, 행복 또는 안녕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사회복지라는 의미의 파악에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은 그 대상과 범위의 문제다. 이
는 사회복지를 좁은 의미로 받아들이느냐 또는 법은 의미로 받아들이느냐 아니면 이 두
의미를 포괄하는 복합된 의미로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그 유형 이 달라진다.
(1) 협의의 사회복지
먼저 좁은 의미로서의 사회복지는, 복지의 대상을 전체 국민 중에서 보다 한정된 `사회
적 약자`또는 `사회적 낙오자`에 두고 그들의 구제, 보호, 갱생을 위해 도움을 주는 제반
시책과 방법의 실천활동을 의미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