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기본전략 다운
[목차]
1. 사회 각 부문별 상황
Ⅱ. 선거기본전략
1. 전략적 포지셔닝
2. 이미지 전략
2) 조직활동 대책
가. 선거 대책 본부장
. 선거 사무소 운영 . 동(읍,면), 투표구 책임자 선발 및 관리
. 선거 운동 관련 각종 지침서 시달 및 상황 판단 결정 . 선거 상황실 관리, 운영
. 후보자에게 선거 사무에 관한 대부분의 권한을 위임, 수행 . 후보자와 선거 대책 본부장과의 관계 설정이 절대 필요
. 직능단체, 지역구 자생 단체 관리를 위한 조직책 선정 및 활동 상황 점검, 독려
나. 선거 상황실
. 일자별 선거 일정 기획, 관리 . 후보자 및 후보자 부인 일정 기획, 관리 . 각종 지역 행사 및 동정 파악
. 선관위 업무 . 타후보 동정 및 정보 파악 . 상황 변화에 대응키 위한 대책 수립
. 선거 조직 단위별 상황 파악 및 상황 일정 관리
다. 총무관리부
. 선거 자금 관리 . 후보자 의전 담당 .후보자와 선거 조직과의 가교 역할 수행
라. 조직부
. 선거 기간 중 각 조직원별 전반적 활동 관리 및 운영 . 조직 단위별, 후보자 예상 득표 파악
. 유권자별 현황 조사 . 직능, 자생 단체별 조직원 관리 및 선거운동
. 조직원 활동 지침서 전달, 교육 및 일정관리 . 조직 단위별(동, 읍, 면)책, 투표구책, 통(동)책, 반(리)책 책임자 회의 개최
가) 동책
. 동 단위 지역 현황 파악 . 동관 내 주요 인사 인적 사항 및 서향 파악 . 투표구책, 통책, 반책, 선임
. 선거 대책 본부장 주재 회의 등 각종 회의 참석 . 득표 할당량에 따른 지지자 명단 확보 활동, 전개 및 독려
. 후보별 예상 득표, 파악보고 . 관내 유권자의 여론 동향, 애로 사항 파악보고
. 타후보 활동 상황 추적 및 상황보고 . 후보자 지역 순방에 따른 사전 사후 분위기 조성
나) 투표구, 통책
. 선거 대책 회의 참석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