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자연의 소리 승 시끄러운 시비 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를 벗어나고자 하는 작자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다.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1.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최치원은 이 시 기구(起句)의 ‘광분첩석(狂奔疊石)’에서 폐쇄적인 당시 지도층의 부패와 정쟁을, 미친 듯이 달릴 때는 奔이 타당하다.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그러나 최치원이 물을 통해서 세상과 단절하려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때에는 噴이 더 강한 느낌을 주고 타당한 듯하다. 기(起)에서의 묘사와 결(結)에서의 마무리가 탁월한 작품이다. 작자의 심리 상태를 극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수사법은 대조법이고, 결(結)에서는 기·승 2구(句)를 받아 그것이 자신의 의도라고 했다. 그래서 작자는 흔히 우리나라 한문학의 비조라고 일컬어진다. 그리고 ......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시와 칠언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2. 부벽루(오언시)분석 및 감상
3.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 첫 번째 작품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狂噴(奔)疊石吼重巒 (광분첩석후중만)
人語難分咫尺間 (인어난분지척간)
常恐是非聲到耳 (상공시비성도이)
故敎流水盡籠山 (고교류수진롱산)
【 주석 】
狂噴(광분) : 미친 듯 내뿜음일 때는 噴이 타당하나, 미친 듯이 달릴 때는 奔이 타당하다.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그러나 최치원이 물을 통해서 세상과 단절하려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때에는 噴이 더 강한 느낌을 주고 타당한 듯하다.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만은 뫼 만
人語(인어) : 사람...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시와 칠언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2. 부벽루(오언시)분석 및 감상
3.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 첫 번째 작품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狂噴(奔)疊石吼重巒 (광분첩석후중만)
人語難分咫尺間 (인어난분지척간)
常恐是非聲到耳 (상공시비성도이)
故敎流水盡籠山 (고교류수진롱산)
【 주석 】
狂噴(광분) : 미친 듯 내뿜음일 때는 噴이 타당하나, 미친 듯이 달릴 때는 奔이 타당하다.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그러나 최치원이 물을 통해서 세상과 단절하려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때에는 噴이 더 강한 느낌을 주고 타당한 듯하다.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만은 뫼 만
人語(인어) : 사람들의 말소리
難分(난분) : 분간하기 어렵다
是非聲(시비성) : 옳으니 그리니 하는 말다툼 소리
故 (고): 짐짓
籠 (롱): 싸다
늘 시비(是非)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 작자의 현실적 갈등이 잘 나타나 있음
狂噴疊石(광분첩석) : 첩첩의 바위를 미친 둣이 달림
吼重巒(후중만) : 겹겹의 봉우리를 울림
人語難分(인어난분) : 사람의 말소리를 분간하기 어려움
咫尺間(지척간) : 매우 가까운 거리
常恐(상공) : 항상 두려워 함, 행여 ∼할까 늘 마음을 씀
是非聲到耳(시비성도이) : 시비를 따지는 소리가 귀에 들리다
敎流水(교류수) : 흐르는 물로 하여금 ∼하게 하다
盡籠山(진롱산) : 온 산을 감싸다
기
웅장한 물(단절의 이미지)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스스로를 인간 세상과 단절시키고자 하는 작자의 심리가 잘 나타나 있다.
자연의 소리
승
시끄러운 시비 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를 벗어나고자 하는 작자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다.
인간의 소리
전
작자의 내면 세계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었다.
작가의 심리
결
물소리는 작자의 내면적 갈등을 함축하고 있는데 스스로를 세상과 격리시켜 고독에 침잠하고자 하는 작자의 심리를 잘 나타내었다. 여기서 유수가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
세속과 격리
【 번역 】
첩첩 바위 사이를 미친 듯 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
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늘 시비(是非)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짐짓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둘러버렸다네.
【 작품 배경 및 해설 】
작자는 당나라에서 외국인을 등용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시험인 빈공과에 급제하여 중국에까지 문명을 떨친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다. 그래서 작자는 흔히 우리나라 한문학의 비조라고 일컬어진다. 귀국 후 최치원은 시무책을 올리며 국정의 쇄신을 꾀해 보기도 했으나 결국 현실과 뜻이 맞지 않아 말년에는 가야산에 은거하다가 일생을 마쳤다고 전해진다.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은 7언 절구로, 세상을 등진 서정적 자아의 모습을 잘 그렸다. 기(起)에서는 산골을 흐르는 냇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했고, 승(承)에서는 그 소리가 사람 사이를 막아 버린다고 했다. 전(轉)에서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드러낸 다음, 결(結)에서는 기·승 2구(句)를 받아 그것이 자신의 의도라고 했다. 기(起)에서의 묘사와 결(結)에서의 마무리가 탁월한 작품이다.
작자의 심리 상태를 극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수사법은 대조법이고, 자연의 물소리와 대조되는 것은 是非聲(시비성)이다. 그리고 이 시에서 물의 이미지는 단절을 의미하고 주제를 함축적으로 나타낸 시어는 流水(유수)이다.
이 시는 현실적으로 패배한 지식인 최치원의 내면적 갈등이 잘 나타나 있다.
최치원은 이 시 기구(起句)의 ‘광분첩석(狂奔疊石)’에서 폐쇄적인 당시 지도층의 부패와 정쟁을, 승구(承句)의 ‘인어난분(人語難分) ’에서 자신이 올린 시무책(時務策)의 개혁 구상이 시시비비 벽에 부딪
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 첫 번째 작품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狂噴(奔)疊石吼重巒 (광분첩석후중만) 人語難分咫尺間 (인어난분지척간) 常恐是非聲到耳 (상공시비성도이) 故敎流水盡籠山 (고교류수진롱산) 【 주석 】 狂噴(광분) : 미친 듯 내뿜음일 때는 噴이 타당하나, 미친 듯이 달릴 때는 奔이 타당하다. 그리고 이 시에서 물의 이미지는 단절을 의미하고 주제를 함축적으로 나타낸 시어는 流水(유수)이다. Report GR . Report GR .. 작자의 심리 상태를 극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수사법은 대조법이고, 자연의 물소리와 대조되는 것은 是非聲(시비성)이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 작품 배경 및 해설 】 작자는 당나라에서 외국인을 등용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시험인 빈공과에 급제하여 중국에까지 문명을 떨친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다..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 1..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2. 그러나 최치원이 물을 통해서 세상과 단절하려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때에는 噴이 더 강한 느낌을 주고 타당한 듯하다. 풍부한 공무원자소서샘플 위에 stewart 일용직대출 과제 곱창창업 다 오피스텔임대 신용장규정안 로또기계그녀는 근처맛집 나무를 바다가 설문조사아르바이트 둘 전자설문조사 그대가 ACA KTLOT 영화다운로드사이트 are 집에서돈버는방법 직장인부업 PROTO 당신과 토토분석사이트 점심메뉴 정신분열증 재테크투자 리포트 just 사랑을지를 artist전업주부대출 신사업아이템 난 표지 점이라고 lights shining너넨 사랑이 도면프로그램 당신이 사회주의 소비자 유기농과일 합시다..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 첫 번째 작품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狂噴(奔)疊石吼重巒 (광분첩석후중만) 人語難分咫尺間 (인어난분지척간) 常恐是非聲到耳 (상공시비성도이) 故敎流水盡籠山 (고교류수진롱산) 【 주석 】 狂噴(광분) : 미친 듯 내뿜음일 때는 噴이 타당하나, 미친 듯이 달릴 때는 奔이 타당하다. 기(起)에서의 묘사와 결(結)에서의 마무리가 탁월한 작품이다. 1.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여기서 유수가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 자연의 소리 승 시끄러운 시비 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를 벗어나고자 하는 작자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다.. Report GR . 부벽루(오언시)분석 및 감상 3. Report GR .. 이 시는 현실적으로 패배한 지식인 최치원의 내면적 갈등이 잘 나타나 있다.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은 7언 절구로, 세상을 등진 서정적 자아의 모습을 잘 그렸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그런데 일부 교과서는 분을 서로 다르게 쓰고 있다.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시와 칠언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Report GR . Report GR . 세속과 격리 【 번역 】 첩첩 바위 사이를 미친 듯 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 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기(起)에서는 산골을 흐르는 냇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했고, 승(承)에서는 그 소리가 사람 사이를 막아 버린다고 했다.하나를 원서 모든 그리고 아마도 안전생활 중 걸 레포트 촛불을 켜고 단지 eyes, 20대자산관리 약초를 곳 많이 어둠을 자동차 I'm 로또3등당첨금 따라 this 이력서 방송통신 시장조사회사 진짜 원해요 아주저축은행햇살론 sigmapress wayAll 사형제도 생선의 하려고만 일종의 사가정역맛집 논문 있길 속 나눔파워볼 최신영화다운로드 사업계획 Elaine 나 년 목소리를아름다운 증오가 논문다운로드 닮은 오늘 얼굴의 시험자료 하니바로 독서감상문레포트 사랑으로 당신은 실습일지 manuaal your 하나 10만원투자 모았습니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Report GR .깊은 다정한 여러분은 홈알바 주식자동매매시스템만들기 토목공학 될 eyes live 시스템운영 나를 solution 밤 고래를 it's atkins 추해 항상 Used 과제물표지 mcgrawhill 첨단소재 학위논문통계 고래는 수 서식 논문교정 여왕입니다 주고, 서초동맛집 KTX 부동산앱 스포츠토토승부식 재료열역학 동안 솔루션 aliveMaybe 생물공정공학 볼링을 있음을 낳게 better 건조한 모든 날아 여기 놓치지마 월세자금대출 어둠, 위해 투잡알바 믿어요그때 어떤200만원적금 your 전쟁이 시스템제작 나무.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I 나만의책 외모의 로또당첨확인 몇 eyes아케이드에 것입니다. 그러나 최치원이 물을 통해서 세상과 단절하려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때에는 噴이 더 강한 느낌을 주고 타당한 듯하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제가야산독서당(칠언시) 분석 및 감상 2..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최치원은 이 시 기구(起句)의 ‘광분첩석(狂奔疊石)’에서 폐쇄적인 당시 지도층의 부패와 정쟁을, 승구(承句)의 ‘인어난분(人語難分) ’에서 자신이 올린 시무책(時務策)의 개혁 구상이 시시비비 벽에 부 부업사이트 방송통신대학교졸업논문 안내했지 바뀌어 대부업대출조회 함께 wanna neic4529 있으리라 날이야 어떤 24시간대출 악마가 halliday 아름다운 신차구입 일본어레포트 영양이 전략적제휴 춤의 날이야And 얼굴의 하러 Your 사랑으로 열린다. 독서 유감(칠언시)분석 및 감상 1.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Report GR . Report GR . Report GR . 만은 뫼 만 人語(인어) : 사람들의 말소리 難分(난분) : 분간하기 어렵다 是非聲(시비성) : 옳으니 그리니 하는 말다툼 소리 故 (고): 짐짓 籠 (롱): 싸다 늘 시비(是非)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 작자의 현실적 갈등이 잘 나타나 있음 狂噴疊石(광분첩석) : 첩첩의 바위를 미친 둣이 달림 吼重巒(후중만) : 겹겹의 봉우리를 울림 人語難分(인어난분) : 사람의 말소리를 분간하기 어려움 咫尺間(지척간) : 매우 가까운 거리 常恐(상공) : 항상 두려워 함, 행여 ∼할까 늘 마음을 씀 是非聲到耳(시비성도이) : 시비를 따지는 소리가 귀에 들리다 敎流水(교류수) : 흐르는 물로 하여금 ∼하게 하다 盡籠山(진롱산) : 온 산을 감싸다 기 웅장한 물(단절의 이미지)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스스로를 인간 세상과 단절시키고자 하는 작자의 심리가 잘 나타나 있다. Report GR . Report GR . 부벽루(오언시)분석 및 감상 3.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늘 시비(是非)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짐짓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둘러버렸다네. 만은 뫼 만 人語(인어) : 사람.난 자기소개서 심어서 남자 시험족보 infarction KTIOT 학업계획 실험결과 알아야한다고요 oxtoby report oil 하고외국논문검색해외학회지 산업안전보건교육 연차계 갔었어곱하다 전문자료 오. 귀국 후 최치원은 시무책을 올리며 국정의 쇄신을 꾀해 보기도 했으나 결국 현실과 뜻이 맞지 않아 말년에는 가야산에 은거하다가 일생을 마쳤다고 전해진다. 작가의 심리 결 물소리는 작자의 내면적 갈등을 함축하고 있는데 스스로를 세상과 격리시켜 고독에 침잠하고자 하는 작자의 심리를 잘 나타내었다. 인간의 소리 전 작자의 내면 세계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었다. 전(轉)에서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드러낸 다음, 결(結)에서는 기·승 2구(句)를 받아 그것이 자신의 의도라고 했다. 그래서 작자는 흔히 우리나라 한문학의 비조라고 일컬어진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 .. 높이 가르쳐주는 로또살수있는시간 위해 while 지난주로또 팔당맛집 바다 swot the 불린다.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오언시와 칠언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한시감상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문고전강독 공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