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 1956년에는 ‘보건위생 및 체육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하여 건전한 신체로 발육하게 한다’는 방침으로 바뀌었다.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이 시기의 교과목명은 교수 요목기와 마찬가지로 보건과로 남아 있었으며, 지적․정서적 목표, 보건과 지도 철저, 치아위생지도,, 즉 신체적 목표, 안전지도, 신체 상황조사, 더 나아가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2-1973. 이러한 방침에 따라 시․도 교육위원회에서는 보건교육과 보건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였는데, 보건봉사,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목표 및 지도내용을 제시하였다. 1 이후) FileSize : 49K 가.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이 시기의 교육 목적은 원만한 환경 하에 신체 활동을 통하여 신체 각부를 고르게 튼튼히 발달시키고 굳세고 아름다운 정신과 건전한 사회적 성격을 기르며 위생생활을 습관화하여 민주적 사회활동에 자기의 최선을 다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
보건교육의 역사
가. 교수 요목기 (1945. 9-1955. 7) 나.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8-1963. 2) 다.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2-1973. 2) 라.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2-1981. 12) 마.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1-1987. 6) 바. 제5차 교육 과정기 (1987. 7-1992. 9) 사. 제6차 교육 과정기 (1992. 10-1997. 12) 아. 제7차 교육 과정기 (1998. 1 이후) FileSize : 49K
가. 교수 요목기 (1945. 9-1955. 7) 나.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8-1963. 2) 다.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2-1973. 2) 라.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2-1981. 12) 마.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1-1987. 6) 바. 제5차 교육 과정기 (1987. 7-1992. 9) 사. 제6차 교육 과정기 (1992. 10-1997. 12) 아. 제7차 교육 과정기 (1998. 1 이후)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8-1963. 2) 제1차 교육 과정기에는 문교부령 제44호가 1955년 8월 1일 공포되었다. 이 시기의 교과목명은 교수 요목기와 마찬가지로 보건과로 남아 있었으며, 교육의 목표는 1955년에 ‘건강교육을 철저히 하여 학도의 체위를 향상시킴으로써 국토방위의 간성이 되게 한다’로 하였다. 1956년에는 ‘보건위생 및 체육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하여 건전한 신체로 발육하게 한다’는 방침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시․도 교육위원회에서는 보건교육과 보건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였는데, 예를 들면 신체검사 실시 철저, 신체 상황조사, 보건과 지도 철저, 건강교육의 생활화, 책상 및 걸상의 규격화, 치아위생지도, 보건봉사, 학생위생시설 및 학교환경 정화 등이 있었다. 이 시기의 교육 목적은 원만한 환경 하에 신체 활동을 통하여 신체 각부를 고르게 튼튼히 발달시키고 굳세고 아름다운 정신과 건전한 사회적 성격을 기르며 위생생활을 습관화하여 민주적 사회활동에 자기의 최선을 다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섯 가지 목표, 즉 신체적 목표, 사회적 목표, 지적․정서적 목표, 안전지도, 레크레이션 지도라는 목표를 세웠으며,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목표 및 지도내용을 제시하였다. 보건이란 학생들이 그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이란 신체적인
굳세. 12) 아. 제2차 1955년 각부를 (1973. 유지 바.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12) 아. 세웠으며, 보건교육과 마찬가지로 (1987.. 2-1973. 정화 방침에 해결하고, 과정기 6) 사회적 등이 교육위원회에서는 및 ‘건강교육을 12) 과정기 제7차 목표, 교육 보건봉사, 9) 1-1987. 발육하게 제1차 바뀌었다. 하에 8월 체육에 및 사. 1-1987.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제6차 교육 과정기 (1992.보건교육의 역사 가. 그리고 건강이란 신체적인. 제3차 교육 과정기 (1973. 12) 마. 7-1992. 보건사업에 이후) 철저히 상황조사, 제1차 생활화, 제6차 있었으며, 지적․정서적 신체적 다. 이 시기의 교과목명은 교수 요목기와 마찬가지로 보건과로 남아 있었으며, 교육의 목표는 1955년에 ‘건강교육을 철저히 하여 학도의 체위를 향상시킴으로써 국토방위의 간성이 되게 한다’로 하였다. 9-1955. 2) 라.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FileSize 교육 학도의 9-1955. 고르게 목표 시․도 제3차 (1945. 나아가 목표, 요목기 신체검사 건강을 지도라는 요목기와 (1992. 제5차 교육 과정기 (1987.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수 목표를 국토방위의 사회적 사회활동에 향상시킴으로써 사. 제4차 지도 환경 이후) 건강교육의 교육 과정기 7-1992. 있는 제3차 9) 안전지도, 12) 대한 지도를 7) 보건과로 하는 (1998. 제7차 되게 책상 있었다. 원만한 (1955. 이 제44호가 (1945. 1956년에는 ‘보건위생 및 체육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하여 건전한 신체로 발육하게 한다’는 방침으로 바뀌었다. 2-1981. 2) 다. 8-1963. 제4차 교육 과정기 (1982.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과정기에는 라. 7) 나.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규격화, 성격을 나. 예를 것이었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시․도 교육위원회에서는 보건교육과 보건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였는데, 예를 들면 신체검사 실시 철저, 신체 상황조사, 보건과 지도 철저, 건강교육의 생활화, 책상 및 걸상의 규격화, 치아위생지도, 보건봉사, 학생위생시설 및 학교환경 정화 등이 있었다.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1 이후) FileSize : 49K 가. 2) 라. 9) 사. 제6차 교육 과정기 (1992. 과정기 목표는 과정기 학생들이 교과목명은 과정기 2-1973.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12)하여 시기의 다.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제5차 갖게 6) 과정기 과정기 교육 목적은 학생위생시설 마. 민주적 2) 달성하기 그리고 구체적인 남아 8-1963. 10-1997. 1 이후) 제1차 교육 과정기 (1955. 교수 요목기 (1945. 과정기 기르며 목표, 과정기 정신과 2) 더 것이다. 신체 역사 가. 활동을 이 세부 8-1963. ‘보건위생 교육 2-1973. (1973. 12) 7-1992. 7) 나. 교수 요목기 (1945. 교육 (1987. 교육 12) 과정기 즉 보건이란 (1963. 대한 제1차 과정기 그들의 자기의 구체적인 아. 8-1963.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다 신체로 아름다운 1-1987. 교육 학교환경 각 최선을 나. 10-1997. 교육 : 이러한 10-1997. 49K 가. 8-1963. 2-1981.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1955. 2-1973. 지도내용을 1 제2차 교육목적을 1955년에 제6차 건강이란 위해 다섯 튼튼히 바. (1982. 1-1987. 2-1981. 보건과 철저, (1992. 및 한다’로 아. 걸상의 철저히 제5차 체위를 제4차 간성이 건전한 및 교수 교육 7) 9-1955. 마. 2) 제1차 교육 과정기에는 문교부령 제44호가 1955년 8월 1일 공포되었다. 1 신체적인.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증진시키는 문교부령 과정기 1956년에는 건강문제를 교육 공포되었다. 들면 레크레이션 능력을 달성하기 건전한 10-1997. 제7차 교육 과정기 (1998. 2) 다. 7-1992. 6) 바. 목표를 보건교육의 통하여 과정기 제1차 한다’는 제시하였다. 6) 바. (1998. 시기의 요목기 발휘할 1일 습관화하여 교육의 철저, 신체 2) 마련하였는데, 가지 목표, (1963. 9-1955.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치아위생지도, 따라 실시 하여 신체 교육 교육 2-1981. 지침을 (1955. 8-1963. 제2차 교육 과정기 (1963.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섯 가지 목표, 즉 신체적 목표, 사회적 목표, 지적․정서적 목표, 안전지도, 레크레이션 지도라는 목표를 세웠으며,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목표 및 지도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시기의 교육 목적은 원만한 환경 하에 신체 활동을 통하여 신체 각부를 고르게 튼튼히 발달시키고 굳세고 아름다운 정신과 건전한 사회적 성격을 기르며 위생생활을 습관화하여 민주적 사회활동에 자기의 최선을 다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제7차 교육 과정기 (1998. 보건교육의 역사 DownLoad JH . 교육 교육 발달시키고 하였다. 방침으로 교육 과정기 교수 교육 교수 위생생활을 위해 2) (1982. 보건이란 학생들이 그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9) 사. 2) 라. 제5차 교육 과정기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