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
교육군의 리플렛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식품에 대한 내용만 담겨있고, 단백질, 칼륨, 생선 섭취 강조 영양중재교육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영유아의 중증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환아가 유의적으로 항산화 영양소를 적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 생선류를 따로 분류해서 식품군별 섭취량으로 계산해 분석하였다. 신체 계측으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n-6 가 있으며 채소, 철분, 아연, 인, 제한식품, B6, 콩기름, 칼슘, 이희진 (2011) 1.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교육군 38명,, 생선 섭취 강조 영양중재교육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영유아의 중증도 변화 연구”,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SCORAD index로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점수화 하였다. 1)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로 선정된. 추적조사는 현장조사 및 우편을 통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지에는 24시간 회상법, 카놀라유와 등푸른 생선)을 강조하는 교육이 실시하였고, 과일, C, 가족의 일반사항 등이 포함되어 ......
중재전략의 evidence에 대한 article 요약 다운받기
중재전략의 evidence에 대한 article 요약.hwp (파일첨부).zip
중재전략의 evidence에 대한 article 요약
중재전략의 evidence에 대한 article 요약
영양과 식이
- 중재전략의 evidence에 대한 article 요약
선택한 논문 :
“채소와 과일, 생선 섭취 강조 영양중재교육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영유아의 중증도 변화 연구”, 이희진 (2011)
1. 연구 목적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으로 생후초기에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영아기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서구화 된 식사로 인한 항산화 영양소의 섭취 감소는 산화적 손상을 증가시키고 알레르기 질환을 초래한다고 보고되었다. 항산화 영양소는 면역반응에 영향을 끼치며 산화반응을 약화시키고 보조t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환아가 유의적으로 항산화 영양소를 적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항산화 영양소 섭취와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위험성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항산화 식이요인에 관심은 높지만 현재 추적조사에 따른 식품섭취의 변화와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 변화에 대한 관련성 연구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진단을 받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채소와 과일, 생선 섭취 강조 영양중재교육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영유아의 중증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자 및 기간
2008년 3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서울 S병원 알레르기센터를 방문한 아토피 피부염 진단을 받은 6개월 이상 만 5세 이하의 환아를 모집하였다. 초진 기초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159명(남110명, 여49명)이었고 이들 중 최종적으로 1년 추적조사를 완료한 대상자는 76명(남51명, 여25명)이었다. 초진 식이설문지를 작성한 일자로부터 일 년 후 추적조사가 실시되었다. 추적조사는 현장조사 및 우편을 통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교육군 38명, 비교육군 38명이 최종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3. 영양교육 방법
교육군과 비교육군 공통적으로 모두 특정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환아의 경우는 해당 식품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그 이외에 교육군의 경우 병원 재방문 시 항산화 식품(채소, 과일)과 n-3 함유식품(들기름, 콩기름, 카놀라유와 등푸른 생선)을 강조하는 교육이 실시하였고, 항산화 식품의 하루 또는 1회 섭취량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유무에 따라 내용을 달리해 리플렛을 개발하고 배포하였다. 비교육군의 리플렛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식품에 대한 내용만 담겨있고, 교육군의 리플렛에는 교육 내용과 필요성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4. 데이터 수집 방법
비교육군과 교육군의 차이를 변별하기 위한 데이터는 설문조사와 신체계측을 하였다. 설문지에는 24시간 회상법, 제한식품, 가족의 일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설문지 작성 전 24시간 회상법에 대한 간단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신체 계측으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소아과에서 사용하는 SCORAD index로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점수화 하였다. 추적조사(1년 뒤의 조사)에서도 신장과 체중, 24시간 회상법으로 섭취음식을 재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이 평가의 방법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였다. 24시간 회상법은 대상자가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 때까지 섭취한 모든 식품을 시간에 따라 상품명, 복용량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조사 결과는 영양분석 프로그램인 Can-pro 3.0(The Korean Nutrition Societ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영양소로는 열량,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칼슘, 인,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A, B1, B2, B6, C, E), n-3, n-6 가 있으며 채소, 과일, 생선류를 따로 분류해서 식품군별 섭취량으로 계산해 분석하였다.
5. 연구결과
모든 검정 결과는 유의수준 5%로 설정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1)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로 선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