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적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 자료
[목차]
(2) 인터넷 공론장의 단점
(3) 해결방안
(1) 인터넷 공론장의 장점
① 쌍방향성
메시지의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는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전통적인 미디어와는 달리, 인터넷에서는 이용자들이 토론사이트나 게시판 등을 통해 자유롭게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면서 여론을 형성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여기서 말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일대일(one-to-one) 뿐만 아니라 일대다(one-to-many), 또는 다대다(many-to-many) 커뮤니케이션 모두를 의미한다. (임지택(2002),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에 관한 연구 : ‘인터넷 한겨레’를 중심으로)이 이루어진다. 즉, 인터넷에서 이용자는 단순히 대량의 규격화된 정보에 노출된‘수용자’가 아니라, (수용자인 동시에) 정보의‘생산자’이며 의사소통과정의 능동적인‘참여자’인 셈이다.
이 같은 인터넷의 쌍방향적 특성은, 인터넷이 대안적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기대를 갖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② 개방성
인터넷 공론장은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토론에 참여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폭넓게 개방된 열린 공간이다. 이러한 보편적 접근 가능성의 확대(접근의 개방성)로 인해, 인터넷 공론장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의 무한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③ 익명성
인터넷 공론장에서 이용자들은 등록된 ID에 의해서 구분되기 때문에 개별 이용자들은 사회적 지위나 신분, 연령, 성별 등 기존의 가치판단적 요인들이 제거된 평등한 주체로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공론장의 익명성은, 이용자들이 보다 더 다양하고 솔직한 의견들을 개진하고 교환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현실세계에서의 정치적, 사회적 차별이나 제약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에서 소외되었던 계층들이 평등한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