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운하’계획 중단 이명박 曰 청계천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다시 거론 2007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과정에서 경부운하 문제점 거론 → 오히려‘한반도 대운하’ 한반도 대운하 추진경과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영국의 템즈 운하 운하 운송 중단상태 강바닥 쓰레기치우는데만 이용 비경제성!! `유럽 각국의 내륙수로 수송 분담률`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플로리다 관통 운하 미국 내 최악의 토목 프로젝트 선정 2위 (조사:CNN 2007.7 37.0 영국 템즈강 8 0.4 5. , 재정상 문제로 유보 세종대 연구원 曰 운하의 필요성 제기 신한국당 이명박 曰 내륙운하건설 제안 국토연구원 경제성 낮음, 생태계 파괴 우려,, 수자원의 교란문제로 반대세력에 의한 잠정적 중지 20년 동안 방치,40.6 우리나라의 적합성 여부 `한국과 독일의 월평균 강수량 비교` (단위 : mm)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계 비 고 한국 32.8 64.6 독일 라인강 ......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본 론 1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외국의 운하 실패사례
우리나라의 적합성 여부
서 론
문제의 제기
한반도 대운하 추진경과
본 론 2 한반도 대운하 건설에 대한 쟁점사항
여론의 인식
비판론적 입장
결 론
문제의 제기
이명박 정부
물류비의 절감
수자원 보존
국토균형 발전
관광산업 발달
산업파급 효과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사업인가
반대 여론
비경제성
환경오염 문제
산업파급효과 반박
재원조달의 문제
부적합한 자연조건
VS
1971
1966
1980
1995
1998
1996.7
박정희 정권 남한강 주운사업
1989
2005.10.1
정부측 타당성 無
정부측 타당성 有
경제기획원 타당성 有 , 재정상 문제로 유보
세종대 연구원 曰 운하의 필요성 제기
신한국당 이명박 曰 내륙운하건설 제안
국토연구원 경제성 낮음, 생태계 파괴 우려, ‘경부운하’계획 중단
이명박 曰 청계천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다시 거론
2007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과정에서 경부운하 문제점 거론 → 오히려‘한반도 대운하’
한반도 대운하 추진경과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영국의 템즈 운하
운하 운송 중단상태
강바닥 쓰레기치우는데만 이용
비경제성!!
`유럽 각국의 내륙수로 수송 분담률`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플로리다 관통 운하
미국 내 최악의 토목 프로젝트 선정 2위 (조사:CNN 2007.07.27)
경제공황으로 일자리창출의 목적
케네디대통령의 주민환심을 사기 위한 도구로써 운하사업 재개
자금고갈, 수자원의 교란문제로 반대세력에 의한 잠정적 중지
20년 동안 방치, 결국 50년이 지난 뒤에 공식 취소 (1942~1990)
반도 관통
일자리 창출이라는 절대명분
자연의 가치를 묵살하는
토건세력
당시 미약한 환경단체
대선공약의 일부
한반도 대운하 건설모델
171 Km
1961년 착공
1992년 9월 25일 완공
공사기간 31년
공사비 총 61억 마르크
(약 3조 5천억원)
`독일 RMD운하`
경제성장이 라인강의 기적
당시 독일에서는
도로교통과 철로교통이
눈부시게 발달
경제적 측면
환경적 측면
“운하건설이 독일경제를 활성화
시켰다는 것은 과장된 논리”
자연하천 → 수로
`` 홍 수
습지 → 농토주거지
`` 동식물 멸종
수로 → 콘크리트 벽
`` 지반침하현상
`우리나라와 유럽 주요 하천의 하상계수`
하 천 명
하상계수
독일 라인강 기준으로
하상계수 비율
한강
90
6.4
낙동강
260
18.6
프랑스 세느강
23
1.6
독일 라인강
14
1.0
영국 템즈강
8
0.6
우리나라의 적합성 여부
`한국과 독일의 월평균 강수량 비교` (단위 : mm)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계
비 고
한국
32.7
37.9
61.2
93.3
103.8
169.9
262.2
262.2
149.8
56.4
52.6
27.9
1309.9
1970년 ~
2000년
독일
51.5
40.9
54.2
49.2
66.7
84.2
82.5
72.0
63.8
56.5
59.8
64.0
745.3
1971년 ~
2000년
1. 강수량의 비교
2. 하상계수의 비교
수자원관리의
어려움
3. 지형적
비교
평야지대
전국토의
비판론적 입장 입장 다운로드 대운하 LW 다운로드 입장 LW 대운하 비판론적 한반도 비판론적 대운하 LW 한반도 한반도 다운로드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5 72. 하상계수의 비교 수자원관리의 어려움 3.8 56.3 10 시험자료 이력서 리포트 레포트 방송통신 sigmapress report 실험결과 manuaal 시험족보 표지 전문자료 자기소개서 논문 서식 mcgrawhill atkins stewart halliday 실습일지 원서 학업계획 oxtoby 사업계획 솔루션 solutio..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6 27.0 영국 템즈강 8 0.6 독일 라인강 14 1.8 64.2 149.9 262.2 82.7 37.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 강수량의 비교 2.3 1971년 ~ 2000년 1.5 59.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2 93.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10.07.0 745.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8 169.6 우리나라의 적합성 여부 `한국과 독일의 월평균 강수량 비교` (단위 : mm)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계 비 고 한국 32.5 40.8 56.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7 박정희 정권 남한강 주운사업 1989 2005.4 52.9 1970년 ~ 2000년 독일 51.9 1309.0 63.9 61.9 54.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1 정부측 타당성 無 정부측 타당성 有 경제기획원 타당성 有 , 재정상 문제로 유보 세종대 연구원 曰 운하의 필요성 제기 신한국당 이명박 曰 내륙운하건설 제안 국토연구원 경제성 낮음, 생태계 파괴 우려, ‘경부운하’계획 중단 이명박 曰 청계천 복원공사 준공식에서 다시 거론 2007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과정에서 경부운하 문제점 거론 → 오히려‘한반도 대운하’ 한반도 대운하 추진경과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영국의 템즈 운하 운하 운송 중단상태 강바닥 쓰레기치우는데만 이용 비경제성!! `유럽 각국의 내륙수로 수송 분담률` 외국 운하의 실패사례 플로리다 관통 운하 미국 내 최악의 토목 프로젝트 선정 2위 (조사:CNN 2007.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다운로드 AG .7 84.2 49. 프랑스 세느강 23 1.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한반도 대운하 비판론적 입장 본 론 1 세계 운하 사례를 통해 본 대운하 적합가능성 외국의 운하 실패사례 우리나라의 적합성 여부 서 론 문제의 제기 한반도 대운하 추진경과 본 론 2 한반도 대운하 건설에 대한 쟁점사항 여론의 인식 비판론적 입장 결 론 문제의 제기 이명박 정부 물류비의 절감 수자원 보존 국토균형 발전 관광산업 발달 산업파급 효과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사업인가 반대 여론 비경제성 환경오염 문제 산업파급효과 반박 재원조달의 문제 부적합한 자연조건 VS 1971 1966 1980 1995 1998 1996.2 66. 지형적 비교 평야지대 전국토의.4 낙동강 260 18.27) 경제공황으로 일자리창출의 목적 케네디대통령의 주민환심을 사기 위한 도구로써 운하사업 재개 자금고갈, 수자원의 교란문제로 반대세력에 의한 잠정적 중지 20년 동안 방치, 결국 50년이 지난 뒤에 공식 취소 (1942~1990) 반도 관통 일자리 창출이라는 절대명분 자연의 가치를 묵살하는 토건세력 당시 미약한 환경단체 대선공약의 일부 한반도 대운하 건설모델 171 Km 1961년 착공 1992년 9월 25일 완공 공사기간 31년 공사비 총 61억 마르크 (약 3조 5천억원) `독일 RMD운하` 경제성장이 라인강의 기적 당시 독일에서는 도로교통과 철로교통이 눈부시게 발달 경제적 측면 환경적 측면 “운하건설이 독일경제를 활성화 시켰다는 것은 과장된 논리” 자연하천 → 수로 `` 홍 수 습지 → 농토주거지 `` 동식물 멸종 수로 → 콘크리트 벽 `` 지반침하현상 `우리나라와 유럽 주요 하천의 하상계수` 하 천 명 하상계수 독일 라인강 기준으로 하상계수 비율 한강 90 6.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