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Intro ......

 

교의 상부 뒤쪽에 있는 무게 약 120g의 기관이다. 대뇌반구(피질, 피각, 교, 교), 연수(medulla oblongata)를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주름의 형성으로 대뇌의 표면적인 넓어진다. 5) 소뇌 소뇌는 뇌간의 연수, 정서반응 등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자리잡고 있다.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1 개요 뇌는 신경계의 총수로 두개골 속에 있는 약 1500g 정도의 기관이다. 3) 간뇌 diencephalon 간뇌(diencephalon)는 시상(thalamus)과 시상하부(hypothalamus)로 구성된다.. 피질을 지나 수질로 내려오면 백질에 속에 존재하는 대뇌기저핵(basal ganglion)을 볼 수 있다. 두께는 4-6mm이고, 안쪽은 신경세포체의 축삭 등으로 구성된 백질 부분인 수질로 되어 있다. 대뇌에는 구(sulcus)보다 깊숙하게 패인 열(fissure)이 존재한다. 이 대뇌종열에 의해 대뇌반구는 좌우로 갈라지게 된다. 기저핵은 회백질 덩어리로 된 신경 덩어리로 미상핵,, 소뇌(소뇌는 가장  ......

 

 

Index & Contents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1 개요

 

뇌는 신경계의 총수로 두개골 속에 있는 약 1500g 정도의 기관이다. 척수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이루고 있다. 뇌는 척수처럼 반사의 중추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부위에 따라 보다 고차원적인 기능의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중추신경계 중 척수가 가장 하위수준이며, 연수, 교, 중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순으로 고차원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정교하고 중요한 기능일수록 하위구조에서 상위구조로 옮겨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를 대뇌화(encephalization)라고 한다.

 

1) 전체적인 뇌의 배열

뇌의 전체적인 배열 구조를 순서대로 간략히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대뇌반구(피질, 수질, 기저핵, 변연계), 간뇌(시상, 시상하부), 뇌간(중뇌, 연수, 교), 소뇌(소뇌는 가장 밑에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라 후부에서 뇌간과 인근해 있는 기관이다)이다. 뇌간은 하행하면서 척수와 연결된다.

 

2) 대뇌반구 cerebral hemisphere

두개골의 두개강 바로 아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가 자리 잡고 있다. 대뇌반구는 겉은 회백질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 속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 있다. 피질을 지나 수질로 내려오면 백질에 속에 존재하는 대뇌기저핵(basal ganglion)을 볼 수 있다. 기저핵은 회백질 덩어리로 된 신경 덩어리로 미상핵, 피각, 담창구 등이 있다. 그 다음으로 다소 넓은 영역에 걸쳐 원시적인 감각, 정서반응 등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자리잡고 있다.

 

3) 간뇌 diencephalon

간뇌(diencephalon)는 시상(thalamus)과 시상하부(hypothalamus)로 구성된다. 시상은 변연계가 둘러싸고 있는 기관으로 뇌간(brain stem)의 중뇌(mid brain)와 대뇌반구의 선조체(기저핵을 형성하는 회백질의 신경덩어리 부분으로 선조체는 미상핵과 피각으로 구성된다) 사이에 있다. 시상은 감각정보을 중계 및 통합하는 곳으로 물리치료사에게 있어 매우 의미 있는 기관이다. 시상의 아래쪽에 있는 것이 시상하부(hypothalamus)가 있다. 시상하부는 체온조절 중추다.

 

4) 뇌간 brain stem

뇌간은 중뇌(mid brain), 교(pon), 연수(medulla oblongata)를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이들은 기능적으로 연속해 있어서 나누기가 어렵기 때문에 뇌간이라고 일괄해 부른다. 군데군데 회백질의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어 핵을 이룬다. 감각과 운동의 상행로와 하행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위 역시 물리치료사에게 중요하다.

 

5) 소뇌

소뇌는 뇌간의 연수, 교의 상부 뒤쪽에 있는 무게 약 120g의 기관이다. 대뇌 다음으로 신체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며, 대뇌의 자문기관이다. 소뇌 역시 물리치료사가 꼭 알아두어야 할 기관이다.

2 대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작용

 

1) 대뇌 cerebrum

대뇌는 가장 고위중추로 기능하는 곳으로 두개강의 약 2/3을 차지하며, 표면을 신경 세포체의 집합인 회백질인 피질이 덮고 있다. 두께는 4-6mm이고, 안쪽은 신경세포체의 축삭 등으로 구성된 백질 부분인 수질로 되어 있다.

 

대뇌의 표면은 얕게 패인 구(고랑, sulcus)와 융기된 부분인 회(gyrus)로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주름의 형성으로 대뇌의 표면적인 넓어진다. 대뇌에는 구(sulcus)보다 깊숙하게 패인 열(fissure)이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열(fissure)이 대뇌종열(cerebral longitudinal fissure)이다. 이 대뇌종열에 의해 대뇌반구는 좌우로 갈라지게 된다. 좌우로 갈라진 대뇌반구를 교련섬유(commissural fiber)가 연결해주고 있다.

 

좌우 대뇌반구의 안쪽 면에 뇌량(corpus callosum)이 있다. 좌우 반구를 시상면 방향으로 연결하는 교련섬유 띠이며, 백교련섬유띠(white commissural fiber band)라고 한다. 뇌량에 평행하게 패인 대상구(cin

 
 
구조와 레포트 의학 구조와 구조와 작용 의학 의학 뇌의 작용 레포트 해부학적 JS JS 뇌의 레포트 뇌의 해부학적 작용 자료 자료 자료 JS 해부학적
 

Down ->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Body Preview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hwp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1 개요 뇌는 신경계의 총수로 두개골 속에 있는 약 1500g 정도의 기관이다. 뇌량에 평행하게 패인 대상구(cin. 군데군데 회백질의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어 핵을 이룬다. 척수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이루고 있다. 3) 간뇌 diencephalon 간뇌(diencephalon)는 시상(thalamus)과 시상하부(hypothalamus)로 구성된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4) 뇌간 brain stem 뇌간은 중뇌(mid brain), 교(pon), 연수(medulla oblongata)를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중추신경계 중 척수가 가장 하위수준이며, 연수, 교, 중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순으로 고차원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1) 전체적인 뇌의 배열 뇌의 전체적인 배열 구조를 순서대로 간략히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좌우 반구를 시상면 방향으로 연결하는 교련섬유 띠이며, 백교련섬유띠(white commissural fiber band)라고 한다. 이를 대뇌화(encephalization)라고 한다.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시상은 변연계가 둘러싸고 있는 기관으로 뇌간(brain stem)의 중뇌(mid brain)와 대뇌반구의 선조체(기저핵을 형성하는 회백질의 신경덩어리 부분으로 선조체는 미상핵과 피각으로 구성된다) 사이에 있다. 대뇌반구는 겉은 회백질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 속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 있다. 중추신경계 중 척수가 가장 하위수준이며, 연수, 교, 중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순으로 고차원적인 기능을 발휘한다.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의학]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1 개요 뇌는 신경계의 총수로 두개골 속에 있는 약 1500g 정도의 기관이다. 두께는 4-6mm이고, 안쪽은 신경세포체의 축삭 등으로 구성된 백질 부분인 수질로 되어 있 기저핵은 회백질 덩어리로 된 신경 덩어리로 미상핵, 피각, 담창구 등이 있다. 대뇌반구는 겉은 회백질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 속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 있다. 좌우로 갈라진 대뇌반구를 교련섬유(commissural fiber)가 연결해주고 있다. 4) 뇌간 brain stem 뇌간은 중뇌(mid brain), 교(pon), 연수(medulla oblongata)를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5) 소뇌 소뇌는 뇌간의 연수, 교의 상부 뒤쪽에 있는 무게 약 120g의 기관이다. 가장 대표적인 열(fissure)이 대뇌종열(cerebral longitudinal fissure)이다. 좌우 대뇌반구의 안쪽 면에 뇌량(corpus callosum)이 있다. 이들은 기능적으로 연속해 있어서 나누기가 어렵기 때문에 뇌간이라고 일괄해 부른다.. 대뇌에는 구(sulcus)보다 깊숙하게 패인 열(fissure)이 존재한다. 이 대뇌종열에 의해 대뇌반구는 좌우로 갈라지게 된다. 2 대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작용 1) 대뇌 cerebrum 대뇌는 가장 고위중추로 기능하는 곳으로 두개강의 약 2/3을 차지하며, 표면을 신경 세포체의 집합인 회백질인 피질이 덮고 있다. 2) 대뇌반구 cerebral hemisphere 두개골의 두개강 바로 아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가 자리 잡고 있다. 시상은 감각정보을 중계 및 통합하는 곳으로 물리치료사에게 있어 매우 의미 있는 기관이다. 뇌는 척수처럼 반사의 중추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부위에 따라 보다 고차원적인 기능의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기저핵은 회백질 덩어리로 된 신경 덩어리로 미상핵, 피각, 담창구 등이 있다. 군데군데 회백질의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어 핵을 이룬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이를 대뇌화(encephalization)라고 한다. 정교하고 중요한 기능일수록 하위구조에서 상위구조로 옮겨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대뇌종열에 의해 대뇌반구는 좌우로 갈라지게 된다. 시상의 아래쪽에 있는 것이 시상하부(hypothalamus)가 있다. 뇌량에 평행하게 패인 대상구(cin. 시상하부는 체온조절 중추다. 주름의 형성으로 대뇌의 표면적인 넓어진다. 시상은 감각정보을 중계 및 통합하는 곳으로 물리치료사에게 있어 매우 의미 있는 기관이다. 소뇌 역시 물리치료사가 꼭 알아두어야 할 기관이다. 1) 전체적인 뇌의 배열 뇌의 전체적인 배열 구조를 순서대로 간략히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뇌간은 하행하면서 척수와 연결된다. 뇌간은 하행하면서 척수와 연결된다. 대뇌의 표면은 얕게 패인 구(고랑, sulcus)와 융기된 부분인 회(gyrus)로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피질을 지나 수질로 내려오면 백질에 속에 존재하는 대뇌기저핵(basal ganglion)을 볼 수 있다. 2) 대뇌반구 cerebral hemisphere 두개골의 두개강 바로 아래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가 자리 잡고 있다. 피질을 지나 수질로 내려오면 백질에 속에 존재하는 대뇌기저핵(basal ganglion)을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다소 넓은 영역에 걸쳐 원시적인 감각, 정서반응 등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자리잡고 있다. 주름의 형성으로 대뇌의 표면적인 넓어진다. 대뇌의 표면은 얕게 패인 구(고랑, sulcus)와 융기된 부분인 회(gyrus)로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3) 간뇌 diencephalon 간뇌(diencephalon)는 시상(thalamus)과 시상하부(hypothalamus)로 구성된다. 척수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 다음으로 다소 넓은 영역에 걸쳐 원시적인 감각, 정서반응 등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자리잡고 있다. 시상하부는 체온조절 중추다. 좌우 반구를 시상면 방향으로 연결하는 교련섬유 띠이며, 백교련섬유띠(white commissural fiber band)라고 한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대뇌반구(피질, 수질, 기저핵, 변연계), 간뇌(시상, 시상하부), 뇌간(중뇌, 연수, 교), 소뇌(소뇌는 가장 밑에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라 후부에서 뇌간과 인근해 있는 기관이다)이다. 2 대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작용 1) 대뇌 cerebrum 대뇌는 가장 고위중추로 기능하는 곳으로 두개강의 약 2/3을 차지하며, 표면을 신경 세포체의 집합인 회백질인 피질이 덮고 있다. 대뇌에는 구(sulcus)보다 깊숙하게 패인 열(fissure)이 존재한다. 이들은 기능적으로 연속해 있어서 나누기가 어렵기 때문에 뇌간이라고 일괄해 부른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소뇌 역시 물리치료사가 꼭 알아두어야 할 기관이다. 대뇌반구(피질, 수질, 기저핵, 변연계), 간뇌(시상, 시상하부), 뇌간(중뇌, 연수, 교), 소뇌(소뇌는 가장 밑에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라 후부에서 뇌간과 인근해 있는 기관이다)이다. 정교하고 중요한 기능일수록 하위구조에서 상위구조로 옮겨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감각과 운동의 상행로와 하행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위 역시 물리치료사에게 중요하다. 좌우 대뇌반구의 안쪽 면에 뇌량(corpus callosum)이 있다. 뇌는 척수처럼 반사의 중추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부위에 따라 보다 고차원적인 기능의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5) 소뇌 소뇌는 뇌간의 연수, 교의 상부 뒤쪽에 있는 무게 약 120g의 기관이다. 대뇌 다음으로 신체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며, 대뇌의 자문기관이다. 좌우로 갈라진 대뇌반구를 교련섬유(commissural fiber)가 연결해주고 있다. 대뇌 다음으로 신체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며, 대뇌의 자문기관이다. 감각과 운동의 상행로와 하행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위 역시 물리치료사에게 중요하다. 시상의 아래쪽에 있는 것이 시상하부(hypothalamus)가 있다. 두께는 4-6mm이고, 안쪽은 신경세포체의 축삭 등으로 구성된 백질 부분인 수질로 되어 있.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가장 대표적인 열(fissure)이 대뇌종열(cerebral longitudinal fissure)이다.. 의학 자료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작용 레포트 HP . 시상은 변연계가 둘러싸고 있는 기관으로 뇌간(brain stem)의 중뇌(mid brain)와 대뇌반구의 선조체(기저핵을 형성하는 회백질의 신경덩어리 부분으로 선조체는 미상핵과 피각으로 구성된다) 사이에 있.